오십에 읽는 논어 -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개정증보판 오십에 읽는 동양 고전
최종엽 지음 / 유노북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고전하면 바로 논어를 빼놓을 수가 없다. 고전에 기댈 수 있는 이유는 몇 천년간 지나온 세월 속에서 묻어나오는 지혜가 정말 주옥같고 지금도 알아야할 가치가 충분하기때문이다. 삶은 늘 전쟁의 연속이다. 어떻게 살면서 평탄한 순간만이 있겠는가? 몸과 마음이 지칠 때가 분명 있을 것이다. 나 역시도 그랬다. 살아가기 위해서 아둥바둥하면서 하고 있지만, 마음 한 편으로는 무언가 공허하고, 씁쓸한 느낌도 났다. 어쩔 때는 나만 그런건가? 싶기도 하면서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다. 좀 더 편하게 덜 힘들게 살아가고 싶은 마음도 굴뚝 같았고. 삶에서 풀지 못한 문제가 있다면 물론 스스로 해결을 하는 것이 맞지만, 인생의 경험과 연륜 그리고 지혜는 책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공도(孔道) 최종엽 선생님이시다. 대한민국에 《논어》와 동양 고전 열풍을 일으킨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명강사다. 인생에 100%인 정답은 없지만서도, 답을 찾고 또 찾는 과정에서 나도 모르게 경험과 지혜가 쌓인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그것을 찾아보고자 뒤를 돌아보고 싶다면 논어만한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고전은 내용을 전달만 하는데 그쳐서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 스스로 이해하고 내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야 비로소 의미가 있다고 여긴다. 인생의 절반이 아니라, 10-20대 젊은 분들도 인생이라는 물에 발을 담그기 전에 미리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나는 3, 40대의 근처에 왔다갔다하는 연령대라서 이립과 불혹을 꼽았다. 자신만의 원칙과 입장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분명한 기준이 있어야만 다른 사람에게 인정을 받고 따름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못하면 이리저리 흔들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가치관과 행동이 일치해야 견고해지고 그 견고함에서 위엄과 진중함이 더 빛을 발하지 않을까? 겉으로 드러나는 문맥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깨달음으로 파고드는 부분이 더 재미있었다. 수박 겉 핥기 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쉽게 친근하게 설명을 하더라도, 논어의 진정한 의미와 본질은 그대로 유지가 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고통을 행복으로 바꾸고 싶은가? 그러려면 논어라는 필수관문을 거쳐야한다고 생각한다.
 수 천년이 지나도 이러한 가치를 한다는 건 마땅히 박수를 받아야할 고전이다. 여전히 타인의 시선에 쉽게 휘둘리거나 중요한 선택을 망설이며 미루고 있다면 공자의 단단한 조언에 귀 기울여 필사하고 마음에 되새기는 시간을 가져보자. 내면을 뒤흔드는 잡념, 불안, 욕망에서 벗어나 진정 가고자 했던 길에 한 걸음씩 더 가까워진 나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출판사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