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대지 - 간도, 찾아야 할 우리 땅
오세영 지음 / 델피노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산자 김정호, 대동여지도는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조선의 지리학자라면 딱 그 분밖에 떠오르지않을 것이다. 잃어버린 대지가 과연 무엇을 가르키는 것일까? 먼저 이야기하자면 간도다. 간도가 찾아야할 우리땅이라고한다. 그 이유를 제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하지않을까? 그 이야기에 다시 귀를 기울이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고 본다. 우리의 지도를 직접 발로 뛰어다니면서 우리나라 곳곳을 돌아다닌 노고의 댓가가 바로 지도다. 그 중에서도 현재에는 전해지지 않지만 우리의 백두산과 그 주변의 지역에까지 자세하게 조사하고 기록하여 남긴 '대동지지'의 변방고의 기록 내용을 따라서 살펴볼 수 있게 해주는 기회를 열어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 근거에 따라서 소설을 지어낸 것이라 상상력도 가미가 되기는 했지만, 소설의 패러다임이 더 확장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했다. 변방고에 의거하여 우리의 땅을 다시 찾아나서는 여정이 의미심장하게 펼쳐진다. 간도 영유권에 대해서 다시 주목해보고 작가님이 이끄는 스토리의 전개들에 넘나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돌아오는 것, 또 현재는 중국의 영토로 간도가 분류되어 있지만 우리의 잃어버린 간도 땅에 대해서 생각을 한 번 가져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압록강과 토문강을 두 나라의 국경으로 정한다." 서위압록(西爲鴨錄) 동위토문(東爲土門) -백두산 정계비 (1712)- 에 적혀있는 건 역사적 사실이다. 그런데 정계비에는 압록강과 토문강을 두 나라의 국경으로 정했는데, 문제는 토문강의 위치를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간도가 조선 땅인가 중국 땅인가가 결정된다. 조금의 영토까지도 정지적 이유로 차지하기 위한  세력들은 항상 비판 받는 대상이기도하다. 작금의 역사적 사실을 증거로 삼기 보다 목숨을 앗아서라도 빼으려는 자와 목숨을 걸고서라도 지키려는 자들의  숨막히는  전개는 흥미진진했다. 간도가 우리 땅이었음을 확인하려는 사람들이 어우러지는 스토리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이었다고 본다.


출판사의 지원으로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