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눈은 왜 생겼나 - 근대 유년동화 선집 3 첫 읽기책 4
강소천 외 지음, 원종찬.박숙경 엮음, 전미화 그림 / 창비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의 제목을 처음 들었을 때 과학 동화인 줄 알았다. 읽어 보니 어린 시절 놀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고, 그 맘 때 좋아했던 옛이야기라 나 같은 늙은 엄마의 추억을 간질이는 동화책이었다.

동무는 소꿉질하다가 벌어진 싸움에 편 좀 들어 달라고 끌고 나온 오빠 언니 들이 서로 알콩달콩 짝을 지어 자기들 할 일만 하니, 싸우던 둘도 오손도손 더 정다운 모습에 웃음이 났다. 어릴 적 놀이터에선 형제자매만큼 든든한 백도 없었는데, 요즘은 보기 힘든 광경에다 우리 아이는 외동이다 보니 마음이 아려 온다.

목수 영감님 덕분에 새 세상을 만난 몽당연필은 이제 할 일이 있다. 문득 나이 마흔이 넘은 나 역시 몽당연필이란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한참 쓰겠는데.”하며 집어 주는 이, 눈여겨보는 사람이 있다면 볼펜대에 정성스레 끼워 쓰던 몽당연필처럼 언젠가 다시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쓸 수 있겠지.

콩 눈은 왜 생겼나?’를 가장 재미있게 읽었는데, 한 끼에 콩 한 알만 볶아 먹으면 배가 불룩해지는 할머니, 콩과 함께 몰래 도망가던 숯 한 토막과 지푸라기 셋이 도랑물에 빠지는 모습, 너무 웃다가 배가 터져 버린 콩을 꿰맨 흉터가 바로 콩 눈이라는 기발한 설정과 묘사가 흥미진진했다.

애착 인형 베개 아이의 얼굴이 탈까 봐 그늘 아래만 찾아다니며 여러모로 지극정성인 베개 아이의 엄마 명애. 하지만 엄마가 안 보인다고 울음을 터뜨리는 영락없는 아기의 모습에 저절로 엄마 미소를 지었고, “베개 아기의 어머니도 우나?” 하자 울음을 뚝 그치고 부끄러워하는 마지막 부분은 특히나 사랑스러웠다. 때가 꼬질꼬질, 헤져 너덜너덜해도 늘 함께 하던 어린 시절의 애착 인형이 떠오른다.   

고양이는 호숙이와 고양이의 대화를 통해서 고양이의 특징을 설명하는 방식이 신선하고 흥미로웠다.

솔새와 소나무는 나무들이 각기 다른 이유로 엄마 잃은 작은 새를 거절했다면 더 재미있지 않았을까 싶다. 소나무는 작은 새가 쉬기에 따끔따끔했을 텐데 늘 푸르고 잎이 지지 않아 듬직해 보여서 지은이는 소나무를 선택했을까? 소나무는 작은 새 덕분에 왕바람 칼바람에도 말짱했고, 작은 새는 소나무 덕분에 추운 밤을 견딘, 서로 돕고 도우며 살아가는 푸근한 자연의 모습. 그나저나 작은 새는 엄마를 찾았을까?

 

전체적으로 정감 있고 재미난 말 표현이 돋보였다. 첫 읽기 책, 근대 유년 동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요즘 아이들에게는 낯선 내용과 정서라서 엄마아빠만큼의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을지 솔직히 조금은 회의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