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의 하루 생각숲 상상바다 11
신희진 지음, 김민우 그림 / 해와나무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오늘은 '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동화를 소개할까 합니다.



엄마의 심부름으로 버스를 타고 오던 영훈이는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 시위를 보게 됩니다.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안전한 세상을 원합니다."


시위로 인해 길이 막히고 늦어지게 되니 영훈이는 짜증이 나기 시작합니다. 이 장면을 영훈이는 핸드폰으로 촬영을 했고, 집에 와서 버스에서 촬영했던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시위 현장 영상을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민폐 장애인'이라는 제목으로 올립니다.


다음날 독일에 사는 고모가 영훈이네를 방문합니다.


불의의 사고로 장애인이 된 고모는 유튜브 채널 '베토의 하루'를 운영하며 독일살이, 맛집 소개 등의 영상을 올리는 유명한 유튜버였어요. 또한, 바이올리니스트로도 활동하고 있었지요.


고모는 세종문화회관에 장애인 음악회에 초청을 받았고, 리허설을 하러 갈 때 영훈이가 동행을 해 주면 짐벌 카메라를 선물로 주겠다고 제안하고, 갖고 싶었던 최소형 짐벌 카메라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영훈이는 벌써 유명한 유튜버가 된 기분이었어요.


영훈이는 고모와 함께 대중교통으로 세종문화회관까지 가는 내내 평소에는 느끼지 못했던 다양한 일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사람들의 시선, 울퉁불퉁한 보도블럭, 버스와 지하철을 탈 때 기사님이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일 등.


택시를 타고 가면서 고모는 택시기사와 장애인 이동권과 배리어 프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요. 


'배리어 프리'는 장애인뿐 아니라 고령자나 사회적 약자들이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이며 제도적인 장벽을 허물자는 운동을 말해요.


세종문화회관에 도착하자, 이동권 시위를 벌이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과 시비를 거는 시민들의 모습을 보며 영훈이는 피하려 하지만 고모는 그 현장으로 당당히 가서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바이올린으로 연주합니다. 핸드폰 전광판 앱 화면에 '배리어 프리'를 적어 머리 위에 높이 올리는 영훈이의 모습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합니다.


<베토의 하루>를 읽으면서 아직까지도 우리나라가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이야기를 통해 모두가 행복한 세상에 한 걸음 더 다갈수 있었으면 합니다.


이야기 속 고모의 말씀이 가슴에 콕 와 닿습니다.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아. 시위가 누군가에게 불편을 줄 수 있지만 아무도 불편하지 않은 방법으로 무언가를 바꿀 수는 없어. 모두가 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누군가는 나서야 해."



<베토의 하루>와 함께 '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