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육아의 힘 - 건강하고 단단한 ‘마음지붕’을 가진 아이로 키우는
김선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그림으로 하는 육아에 관한 책을 소개할까 합니다.


가끔 그림으로 사람의 심리를 파악하고 치료하기도 하는 것을 책이나 TV를 통해 종종 접하곤 합니다.


저도 올해 우연히 한 행사장을 갔다가 아이의 그림을 통해 심리를 알아보는 시간을 잠깐 가졌었는데요. 아이에게 나무를 그려 보라 하시더군요. 이것 저것 해 보면서 몰랐던 아이의 감정을 알게 되어 놀라기도 했고, 그림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다는 게 참 신기하기도 하고 대단하기도 하다 느꼈었어요.


그러던 차에 국내 미술치료 최곻 권위자이자 트라우마 심리 치료 전문가이신 김선현 교수님께서 <그림 육아의 힘>을 출간하셨다고 해서 좋은 기회로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그림은 아이가 품고 있는 '마음의 지도'라고 해요. 아이는 그림을 통해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표현한다고 하는데 이를 잘 활용하면 아이를 좀 더 깊게 알 수도 있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어루만져 줄 수 있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그림에는 그림을 그린 사람의 고유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 때로는 무의식까지 담길 수가 있어요. 


책에서는 정서, 사회성, 자존감, 문제해결 사례에 따른 실제 아이들 그림이 50여편 수록되어 있고, 그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와 관련된 육아에 관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어요.




많은 부모들이 좋은 엄마, 아빠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기 위해 희생을 감수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정말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많은 육아서들에서도 말하고 있지만 이 책에서도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는 것이 있지요. 바로 부모는 아이들이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대상이 되고 같이 고민해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또한, 아이가 할 수 있는 건 스스로 하게 해 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부모가 나서서 아이의 할 일을 선택하거나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닌 오로지 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는 것이지요. 저도 늘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항목이지만 가끔씩 아이를 기다려주지 못하고 먼저 나서서 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 또 한 번 반성하고 마음을 다 잡아 봅니다. 아이를 믿고 기다려 줄 것.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사사건건 아이를 너무 통제하려 들지 않을 것! 아이 스스로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경험을 해 볼 수 있게 하고, 아이가 이를 통해 더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게 기다려주고 믿고 바라보는 것. 이게 제일 중요한 일인것 같아요.


이외에도 책에는 아이의 자아상을 볼 수 있는 HTP검사, 색으로 보는 아이의 마음, 부모님과 함께 하는 자기 조절력 검사도 수록되어 있어요. 천천히 하나하나 읽어보면서 아이와 함께 검사를 해 보면서 아이의 마음을 잘 살펴 보면 좋을 것 같아요.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따라 해 보실 수 있어요.


그림육아. 아이가 그리는 그림을 보면서 주로 쓴 색의 의미를 찾아보고, 선이나 터치감. 아이가 그린 그림에 대해 질문하고 대화하면서 아이를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 것. 이를 통해 아이를 좀 더 깊이 알고, 아이를 어루만져 주는 것.


그림육아를 열심히 하다보면 아이의 정서, 사회성, 자존감,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힘을 기를 수 있게 되는 날이 오겠지요.


내가 전문가가 아닌데 그림육아를 어떻게 하고, 아이의 그림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지?하는 어려운 마음은 접어두어도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의 실제 그림을 통해 친절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게 이끌어주거든요.


아직은 익숙하지 않아서 쉽게 파악할 순 없겠지만 아이의 그림을 보며 함께 이야기하고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본다면 아이와 교감하고 소통하는 힘이 더 잘 길러질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가 건강하고 단단한 마음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부모님들이 함께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