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규장각 이야기 - 조선 왕실의 보물 창고 ㅣ 똑똑한 책꽂이 38
최지혜 지음, 신소담 그림 / 키다리 / 2024년 6월
평점 :
예전에 TV에서 조선왕조 의궤와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어요. 이번엔 그 의궤와 관련된 그림책을 소개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80.jpg)
조선시대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 정조 임금님이 궁궐 밖인 강화도에 특별한 도서관을 설치하도록 했어요. 중요한 왕실 자료들이 더 안전하게 지켜지길 바라는 마음으로요. 그 도서관을 밖에 있다해서 '외규장각'이라 불렀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81.jpg)
외규장각에는 왕실의 귀한 물건들을 보관했어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의궤'랍니다. 왕실의 중요한 행사와 의례의 모든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했기 때문이지요. 이렇듯 중요한 의궤를 보관하는 외규장각!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82.jpg)
그러던 어느 날, 잊지 못할 일이 발생했어요.
1866년 10월. 강화도를 침략한 프랑스 군인들에 의해 외규장각의 귀중품들을 약탈당했고, 외규장각은 불길 속으로 사라졌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84.jpg)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시던 박병선 박사에 의해 조선왕조 의궤를 발견하게 되었어요. 이 일로 박사님은 사서직에서 쫓겨났지만 끈질기게 연구한 끝에 의궤 목록을 만들어 공개하셨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86.jpg)
이후 의궤 반환을 요구했지만 프랑스와 의견이 달라 쉽게 해결되지 않않고 각고의 노력끝에 영구 대여 형식으로 돌아오게 되었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8/pimg_7838601604331290.jpg)
우리의 소중한 문화 유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정조 임금님의 깊은 뜻과, 약탈된 우리의 문화 유산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신 분들의 희생으로 우리의 소중한 의궤를 다시 만날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지금도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 애타게 고국을 그리워하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 유산에 관심을 기울여야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도 우리 선조들의 소중한 지혜가 담긴 우리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해 한걸음 다가설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아요.
소중한 정보와 역사를 배울 수 있었던 멋진 '외규장각 이야기' 추천 드립니다. 꼭 읽어 보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