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배터리 킹 - 가나 빈곤층에 희망을 밝힌 착한 자본주의 실험기
맥스 알렉산더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리카 배터리 킹

 

아프리카 주민들의 삶은 안락하지 않다. 빈곤의 대물림이 내려오고 있는 아프리카를 위해 세계에서 수많은 원조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원조가 아프리카 주민의 삶의 이득으로 쉽게 이어지지 않고 있다.

왜 이럴까?

세계의 원조를 당연시하게 받아들이는 대다수 아프리카 주민들은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있다. 이런 아프리카 주민의 잘못된 생각을 고쳐주기 위해 과감하게 나선 형제들이 있다.

앞부분에 왜 배터리 사업에 나서게 되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창조적 자본주의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것이 진정한 창조경제라고 생각한다.

이런 창조경제적인 부분이 우리나라에도 많이 뿌리를 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무릇 무슨 일을 하든 처음이 어렵다. 좋은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이런 사업이 있다고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이혼한 부모님을 두고 있는 판이한 성격의 형제는 배터리 사업을 아프리카에서 시작한다. 회사 부로를 만들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돈을 벌려고 노력한다. 이른바 좋은 선순환 구조가 이어지는 것이다.

아프리카 주민의 삶에서 전기는 무척 중요하다. 우리들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 어느 때나 전기를 구할 수 있지만 아프리카 주민들은 그렇지 않다. 그렇기에 그들에게 배터리는 아주 중요한 물건인 것이다.

원할 때마다 새 것으로 주는 건전지! 전기 임대 문화! 역시 사업에는 못 파는 것이 없다. 건전지 안에 든 전기를 팔다니! 배터리를 계속 해서 교환해주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시장에 가면 배터리를 돈 주고 빌리는 상인들도 있는데, 그것과 비슷해 보인다.

마이크로파이낸싱, 그라민 은행 등 서민들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지원정책 이야기들도 나온다. 그라민 은행은 장점도 있지만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하고 있다. 모든 건 상대적인 것이다.

아프리카 배터리 킹 부로는 사업과 이상적인 부분이 만난다고 봐도 무방하겠다. 최대한 좋은 걸 추구하면서 그 안에서 이득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그 이득이 사람들을 모두 좋게 하고 있으니 정말로 좋아 보인다. 물론 이것도 상대적이라 손해를 보는 사람들도 있겠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아프리카 주민들에게 좋다고 할 수 있겠다.

아프리카 현지에서 부로와 같은 사업을 한다는 건 어려워 보인다. 책에서 나와 있는 아프리카 주민의 삶이 무척이나 힘들어 보이기 때문이다.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그런 아프리카 주민의 삶에 깊숙하게 파고들어야 하고, 저자들 역시 힘든 삶을 함께 공유한다. 힘들게 함께 땀 흘리면서 아프리카 주민의 빈곤을 타파하고 있다.

아프리카 주민의 삶을 현실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으면서 경제적으로도 많은 걸 생각하게 만든다. 저렴한 비용으로 전기를 사용해서 더욱 많은 산업활동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로 인해 경제활동이 더욱 많아지면서 전체적으로 돈이 돌고 돈다. 돈이 잘 돌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이런 창조적인 경제 순환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기에 윗사람들이 계속 해서 창조경제를 부르짖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가나의 대표 배터리 업체로 부로가 자리를 자리 잡은 것처럼 우리나라에도 이와 같은 창조경제 회사가 나타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