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도의 영어선물]

 

요즘 읽고 있는 여러 책들 중 하나입니다.

이미도의 영어선물.

이 책의 전작이라 할 수 있는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

재미있게 읽었고

이 책도 아주 재미있습니다.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는 오직 영화에 관한 것이라면

[이미도의 영어선물]은 영화 + 책 입니다.

 

작년 연말에 이미도님 강의를 직접 들은 적이 있는데

(☞ 이미도를 만나다)

그 때 강의 내용이 많이 나와서 더 반갑네요.

마치 저자가 내 앞에서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책을 읽다가 피카소에 관한 내용이 나왔고

의문점이 생겨 블로그에 올립니다.

 



 p 61. TV 만화영화 <밀림의 왕자 레오>를 만들었고, <은하철도 999>의 극장판을 감독한 린 타로 감독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대부이지요. 일흔을 앞둔 그는 우리나라 언론과 인터뷰하면서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저의 정신세계는 중학생 수준에 머물러 있고, 그 세계에서는 영화로 표현하고 싶은 게 무척 많습니다. 어느 정도 성장이 멈춘 것이 창작에 도움이 되지요." 자신의 창조적 상상력의 세계를 그렇게 표현한 것이지요.

 창의성 연구 전문가인 하워드 가드너는 <<열정과 기질>>에서 다음과 같은 피카소의 말을 소개합니다.


 

 


 "어릴 적부터 신동 소리를 들었던 저는 그때 이미 라파엘로처럼 그릴 수 있었지만, 아이들처럼 상상하며 그리는 법을 배우기까지는 평생이 걸렸스니다.


 

 

 



 

하워드 가드너의 [열정과 기질]

 

원제는 Creating Minds.

 

이 책은 7명의 창조적 거장들을 창조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책입니다.

지금은 많이 유명해진 "다중지능이론"의 사례를 보여주는 책입니다.

 

창조적 거장 7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 세상에 홀로 맞선 사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영원한 아이

파블로 피카소 - 신동과 천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음악가이자 정치가

T.S. 엘리엇 - 경계선에 위치한 거장

마사 그레이엄 - 무용계에 혁명을 몰고 온 여자

마하트마 간디 - 신념을 실천한 정치 지도자

 

 

 

 



 

 

[이미도의 영어선물]에서 언급한 [열정과 기질]의 피카소에 관한 부분입니다.

"그 나이 적에 이미 나는 라파엘로처럼 그릴 수 있었지만, 그 아이들처럼 그리는 법을 배우기까지는 평생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제가 왜 제목을 "라파엘로냐 벨라스케스냐?"라고 뽑았냐면

최근에 본 다른 책은 라파엘로 대신 벨라스케스를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마로니에북스의 [501 GREAT ARTISTS 위대한 화가]

 

미술책에 관한 보증수표 - 마로니에북스.

미술에 관한한 제가 가장 신뢰하는 마로니에북스에서 나온

☞[501 GREAT ARTISTS 위대한 화가] 입니다.

501명의 위대한 화가를 간략하게나마 소개한 책입니다.

이 책에서 피카소는 4페이지에 불과하지만

대부분의 화가들이 한 페이지에 소개된 것을 보면

피카소를 얼마나 비중있게 다뤘는지 알 수 있습니다.

 

 

 

 



 

 

[501 GREAT ARTISTS 위대한 화가]에는

"나는 열다섯 살에 벨라스케스처럼 그렸다. 덕분에 나는 80년 동안이나 아이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라고 적혀 있습니다.

 

하워드 가드너의 [열정과 기질]에 나온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같은 말을 전하는 과정에서 라파엘로가 벨라스케스로 바뀐 것인지

각각 다른 발언을 옮긴 것인지 그게 궁금하네요.

 

어제 밤에 잠도 안 오고 별게 다 궁금해서 고민해보다가

이렇게 올려 봅니다.

 

 

 

 

 

 

 

 

 



 



 

위 명함을 클릭하시면 제가 고른 글들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손을 클릭해주시면 저의 블로그 생활에 큰 힘이 됩니다!!

 

 

 

 

 

 

 


피카소의 작품 하나 감상

 

 

 



 

[아비뇽의 처녀들]

바로셀로냐의 아비뇨 지방의 매춘부들을 그린 그림이고

현대미술에서 가장 의미가 있는 그림 중 하나입니다.

충격! 충격!!

피카소와 절친했던 조르주 브라크조차도

"자네는 우리가 톱밥을 먹고 석유를 마시길 원하는 것 같군"

이라고 할 정도로 큰 충격을 준

기존과는 다른 아주 파격적인 작품입니다.

 

아내와 3월 9일부터 매주 화요일 경남 도립미술관에서

[2010 미술관 교양대학] 강좌를 듣고 있습니다.

3월 16일 두번째 수업이

<<왜 지금도 피카소가 중요할까?>> 였습니다.

 

 

수업 내용에서 조금 발췌하면

 

* 피카소는 [아비뇽의 처녀들]을 위해 809장의 스케치.

* 1907년 7월경 제작된 <아비뇽의 처녀들>은 마치 현대미술로 들어가기 위해 문을 여는 작품(a key work).

* 인체의 각 부분들 간의 조화로운 비례와 관계를 해체시키고, 일점 원근법적 공간을 다多시점 원근법의 공간으로 전환.

* 기존에 갖고 있는 인체에 대한 개념, 즉 아름다운 비례, 매끄러운 피부, 수려한 얼굴, 매혹적인 자태 등의 고전주의의

   이상적 미의 개념을 전복시키는 것.

* 합리적인 공간개념, 즉 하나의 점으로 모아지는 선 원근법에 의한 가상 공간의 연출을 과감히 탈피하는 것으로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회화예술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