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크라테스는 왜 질문만 했을까 - 세상과 나를 업데이트하는 철학적 사고법
시노하라 마코토 지음, 김소영 옮김 / 더페이지 / 2025년 8월
평점 :
📍도서명 : 소크라테스는 왜 질문만 했을까
📍저자 : 시노하라
마코토
📍출판사 : 더페이지
📍장르 :인문학
철학의 본질을 현대적 시각에서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 작품으로, 우리들로 하여금 철학적 사고의 시작이자 근본인 ‘질문하기’의
중요성을 깊이 깨닫게 해줍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왜 대답을 하기보다 질문을
끊임없이 던졌는지에 대해 탐구하며, 철학이 어떻게 우리의
사고 방식과 삶을 변화시키는지 명료하게 설명해 줍니다
소크라테스의 대표적인 ‘산파술’에서 출발합니다
직접 정답을 제시하기보다 대화 상대가 스스로 답을 찾아내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식을 깨우치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근본 틀을 바꾸는
‘사고의 전환’을 배우게 합니다
현대 사회의 빠르고 복잡한 정보 흐름 속에서도 ‘질문하는 힘’
이야말로 변덕스럽고 혼돈스러운 현실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핵심 능력임을 강조합니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을 단순한 대화 기술로 축소하지 않고,
삶의 철학이자 진리 탐구의 방법론으로 접근한다는 점입니다
소크라테스 문답법은 상대방의 무지를 일깨우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떤 개념에 대해 묻고 대답하면 그 대답이
적용되지 않는 반대 사례를 제시해서 난관에 빠지게 만든다는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이것이 단순한 논리적 함정이 아니라
진정한 앎을 향한 여정임을 보여줍니다



인상적인 것은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지"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부분이였습니다
소크라테스가 "나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안다"고 했을 때,
이는 겸손의 표현이 아니라 진정한 지혜의 출발점임을 명확히 한니다
확신에 찬 답변보다 끊임없는 질문이 더 큰 힘을 갖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설명해 줍니다.
답은 사고를 멈추게 하지만, 질문은 사고를 확장시킨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소크라테스가 "모른다"고 말할 때의 진정한 의미와, 이것이
어떻게 상대방의 고정관념을 흔들어 새로운 사고를 유
도하는지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해 줍니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과의 대화를 현대적
상황으로 치환하여 분석한 부분은 고대 철학을 현재 우리
삶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
소크라테스의 질문법이 단순한 개인적 성찰을 넘어 민주적
토론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확신에 찬 주장보다는 열린 질문이, 독백보다는 대화가 건전한 공론장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이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데 필요한
소통의 지혜를 제공하여줍니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의 지적 유산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데
성공한 훌륭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정한 소통과 대화를 갈망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답을 찾기보다는 더 좋은 질문을 던지는 삶의 지혜를 배우고 싶은
이들에게 강력히 추천드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