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글댕글~ 왜일까요? - 꾸밈으로 보는 세계 문화 댕글댕글 8
이원중 엮음, 김희영 감수 / 지성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서 읽고 솔직하게 쓴 서평입니다.


지성사에서 나온 <<댕글댕글~ 왜일까요?-꾸밈으로 보는 세계 문화>> 책을 아이들과 함께 읽었습니다.


표지부터 심상치가 않네요.

일본의 전통의상을 입은 여성도 보이고 입술에 둥그런 판을 집어넣은 사람도 있고, 동상에 망토를 걸쳐놓은 사진, 목에 링을 여러 개 걸어서 목이 많이 길어진 사진 등등...

이 사람들은 왜 이렇게 한 걸까?라는 질문이 절로 나오는 책이에요.

동서양을 막론하고 궁금했던 세계 문화를 탐구해볼 수 있는 책이랍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왜 똑같은 단발을 하고 있었는지-클레오파트라의 그 단발 말이에요.

하이힐을 유럽에서는 남성이 신었다는 이야기,

스코틀랜드 남성들은 왜 치마를 입는 것인지,

옛날 우리나라의 남성들은 상투를 틀었는데, 정말 신체발부 수지부모라서 평생 머리를 자르지 않았는지,

중국의 전통의상 치파오는 얼마나 오래된 옷인지 등등의 29가지의 질문에 답해줍니다.

그 중에서 몇 가지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여성들이 시집을 가면 머리를 올렸는데, 비녀로 그 신분을 나타냈다고 해요.

상류층의 비녀는 주로 금과 은, 옥, 진주 등으로 만들었고,

서민층의 여성들은 나무, 뿔, 뼈로 만든 비녀를 사용했다고 해요.


그리고 이 책에서는 중국의 전족 문화를 소개해주는데요,

중국에서 약 1000년 동안이나 지속되어 온 문화인데, 왜 작은 발의 여성을 좋아했는지 아직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지만, 중국 사람들은 발이 작은 여성이 걷는 모습을 우아하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니 그들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것도 우리가 배울 자세겠지요?


미얀마의 카얀족은 고리를 둘러서 목을 길게 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것을 2살에서 5살 아이의 목에 끼웠고, 많게는 20바퀴까지 둘렀다고 하니 얼마나 불편할까 생각도 되지만, 이것이 이 부족의 전통이고 관습이니 우리가 함부로 잣대를 들이대서 평가를 할 수는 없겠지요?


저희 아이들은 이 책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 다양한 시대의 꾸밈 문화를 배우고, 지금 우리의 기준으로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