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춤춰요 라임 그림 동화 36
요안나 쿼.샤리나 마르케즈 지음, 프랜시스 알바레스 그림, 양병헌 옮김 / 라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으로 춤춰요>>는 제목에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수어'를 주제로 한 그림책입니다.


어느 날 '나'의 앞집에 이사온 '마이네 가족'을 본 '나'의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나'는 마치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듯 마이네 가족이 쉴 새 없이 손을 움직이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런 마이네 가족을 엿보게 된 '나'는 마이네 가족이 말할 때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어쩌다 길에서 '마이'와 마주친 '나', 그런 우연이 반복되자 세 번째 만났을 땐 같이 어울려 놀게 되지요.

하지만  '마이'와 '나'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어요.

그래서  '나' 는 '마이'에게 수어를 배웁니다.

그렇게 손으로 춤을 추는 방법을 알게 된 '나'.


함께 쉼 없이 얘기를 나누는 '마이'와 '나'를 보며 장애에 대한 편견의 벽을 허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그림책입니다.

이 책의 끝부분에서는 수어가 무엇인지, 수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어서 수어 상식을 쌓을 수도 있고, 수어에 대해 여러 생각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답니다.


요즘 아이들 학예발표회를 하는 것을 보면, 가끔 수어로 공연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어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높아지긴 했지만, 공연용이 아닌 장애우와 서로 소통하고 싶은 진정한 마음에서 출발하는 배움이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우리 아이도 학교, 유치원에서 수어를 몇 개 배워서 그런지 이 책에 대해 관심을 보였는데, 이를 계기로 수어가 청각장애인들에게는 언어, 즉,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된다는 것을 바로 알았으면 해요.


라임북에서 나온 <<손으로 춤춰요>>를 보니 영화 '코다'가 생각났어요.

청각장애인 가정에서 태어난 청력이 정상인 아이를, 'Children of deaf adult'의 원어를 줄여서 코다(coda)라고 하는데요.

영화 속에서 '보이는 언어'와 '들리는 언어'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거든요.

이 그림책을 읽은 어른이라면 코다라는 영화도 함께 보면 참 좋을 것 같아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