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마을에 온 손님 ㅣ 모든요일그림책 8
박혜선 지음, 이수연 그림 / 모든요일그림책 / 2023년 3월
평점 :
‘모든요일그림책’에서 여덟 번째 그림책 《우리 마을에 온 손님》이 나왔습니다.

제 취향의 그림은 아니었지만, 그림보다는 우선 내용을 소개한 글에 이끌려 아이들과 함께 읽은 책입니다.
"우리 곁 모든 낯선 존재들에게 건네는 다정한 온기, 나와 너 사이의 울타리를 허무는 연대와 공존 이야기!"라는 책 표지에 걸쳐져있는 띠지 속 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어느 날, 토끼 마을에 손님이 하나둘 찾아오기 시작합니다.

다람쥐, 멧새, 달팽이, 들쥐, 오소리, 고라니, 멧돼지까지...
이렇게 많은 손님들이 몰려들자 토끼 마을은 동물들로 북적북적 복잡해집니다.
여기저기 집들은 늘어났고, 점점 더 많은 음식도 필요해졌습니다.
그러자, 토끼들은 화가 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살 곳도 없는데 자꾸 몰려오면 어쩌자는 거야."
그러면서 토끼들은 다른 동물들을 의심하기까지 합니다.
당근밭에 당근이 없어지는 것 같다는둥, 옹달샘이 오염되고 있다는둥, 토끼들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둥....
결국 화가 난 토끼들은 "모두 우리 마을에서 나가!"라고 소리지릅니다.

하지만 이 외침은 함께 어울려 노래를 부르고 노는 아이들의 웃음소리에 묻혀버리고 맙니다.
토끼들은 동물들을 내쫓는 것에 대해 다시 의논하기 위해 모임을 갖습니다.
아이들끼리 너무 잘 노니까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고 말이에요.
하지만 토끼 마을에 더 많은 동물들이 들어오려고 줄을 섰다는 말에 어른 토끼들은 동물들을 얼른 다른 마을로 보내자고 결의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이런 어른들의 생각에도 아랑곳 않고 저희들끼리 잘 어울려 놉니다.

그 모습을 보며 나이 많은 토끼가 이야기합니다.
사실 토끼들도 아주 옛날에는 이 마을에 온 손님이었었다는 것을요.
그러면서 토끼들은 마을에 온 손님을 따뜻하게 대해 줘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 책을 읽으며 요 몇 년 사이 불거졌던 난민 문제가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난민은 보통 인종, 종교, 국적 등의 이유로 탄압을 받아 다른 나라의 보호와 도움이 필요한 외국인들을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들이 한국에도 서서히 들어오고 있고, 요즘 유명한 방송인이 된 콩고 출신 조나단과 파트리샤 가족도 이에 해당하는 것 같네요.
우리 정부가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들에게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돕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기준은 누구나 수용할 수 있고, 엄격한 것이어야겠지요.
영국의 시인 William Wordsworth의 'My heart leaps up'이라는 시에는 'The Child is father of the Man'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우리 마을에 온 손님》에 나오는 어린 토끼들은 쉴 곳, 먹을 것 등등이 필요해 토끼 마을에 온 동물들과 어울려놉니다.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는 윌리엄 워즈워드 시인의 말처럼 어린 토끼들의 이런 모습을 통해 어른 토끼들은 세상을 배워갑니다...
우리는 지구라는 아름다운 초록별에 손님으로 온 존재들이라는 것을 깨닫고 우리의 이웃과 손님에게 따뜻한 배려를 건네는 존재들이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