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홍이 아니라 분홍 - 제29회 눈높이아동문학상 동화 부문 우수상 수상작 고학년 책장
정현혜 지음, 전명진 그림 / 오늘책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29회 눈높이 아동문학상 당선작 <<진홍이 아니라 분홍>>을 읽었습니다.


주인공의 아픔을 생각하고 그 시대의 사회를 상상하니 가슴이 저려오고 눈물이 절로 주룩주룩 흘러내렸습니다.


이 글의 배경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때입니다. 

정몽주의 단심가와 이방원의 하여가가 생각나지요.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白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정몽주처럼 주인공 맹란이의 할아버지는 고려의 충신이었습니다. 그런 와중에 조선이 건국되고 여타 고려 충신들이 퇴락해가는 고려를 끝까지 지키려다 죽음을 당하거나 가문이 멸망하는 피바람이 불었지요. 맹란이의 가문은 그 당시에 폐족을 당해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유배를 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맹란이와 어머니, 오빠만 남아 근근이 살아갑니다.

공부를 잘하던 오빠는 폐족을 당해 과거시험조차 볼 길이 막혀버려서 어찌할 도리가 없었고요.

어머니는 삯바느질로 생계를 이어갑니다.


그러던 중 맹란이는 염색 기술을 배워 어떻게든 가족을 먹여살리려고 합니다.

맹란이는 서민들과 달리 글을 알고 있었고 양반으로서의 마음가짐과 품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염색 기술을 가진 할아버지(홍염장 할아범)에게 인정을 받아 할아버지로부터 염색 기술을 전수받습니다. 


추운 겨울, 굶주림과 혹한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시게 되는데, 아버지의 죽음 뒤에는 어떤 이의 간교함이 숨어있었죠. 맹란이의 어머니가 아버지께 보낸 겨울 옷이라든지 물품들을 중간에 심부름 맡긴 사람이 가로챘다는 걸 알고 맹란이는 더욱 가슴이 무너집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충절을 지킨 자신의 가문의 삶에 설움과 원한이 복받쳐오르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맹란이의 모습이 참 멋져보이고 숭고해보였습니다.


세상과 야합하고 어떻게든 힘있는 자에게 붙어서 그 권력을 조금이라도 누리려는 요즘의 세태와는 달리 어린 여자 아이가 이런 성숙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이렇게 멋진 한 권의 책으로 표현해 준 작가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올해 읽은 책 중에 아동문학 부분에서는 개인적으로 감히 최고라고 말하고 싶은 책입니다.

초등 고학년부터 중학생이 읽으면 참 좋을 것 같은 책입니다.

엄마인 제가 아이에게 읽히기 전 읽어봤는데, 눈물이 앞을 가리고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 글은 책세상맘수다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