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사람은 자기가 쓴 글을 이해할까?' 라는 글이나 책이 있습니다. 번역본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이 쓴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번역본이면, '핑계'라도 댈 수 있지만 우리말과 글로 썼는데도 독자들이 이해하기 힘들다면 그 글은 좋은 글이 아닙니다. 아쉽게도 이런 글은 참 많습니다.

 

하지만 초등학생이 쓴 일기장을 읽는 것처럼 쉬운 글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수준 낮은 글이 아닙니다. 유시민이 쓴 글은 쉽습니다. 막힘이 없습니다. 중학생이 읽어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고학년이 읽어도 '어렵다'가 아니라 '나도 읽을 수 있네',  '나도 이 정도 쓸 수 있다'는 글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내용이 수준 높고, 탁월합니다. 그가 책을 쓰면 몇만권은 쉽게 넘어가는 이유입니다.

 

사람들은 "유시민은 태고난 '글쟁이''라고 부러워합니다. 대학 입시를 앞둔 부모들은 유시민처럼 내 자식도 탁월한 글쓰기 능력을 가지기를 바랍니다. 논술 학원에 보내고, 글쓰기 강좌도 갑니다. 어떤 부모는 직접 배워 자녀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칩니다. 문제는 결과가 별 아닙니다. 돈만 쓰고, 결과는 별로인데도 부모들은 올해도 돈을 투자합니다. 다음해도 똑 같습니다.

 

많이 읽으라!

 

돈도 들이지 않고, 글 잘 쓰는 방법은 없을까요? 논술학원이 펄쩍 뛸 일이지만, 유시민은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글을 잘 쓰려면 "많이 읽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많이 읽은 사람이 반드시 글을 잘 쓰는 것은 아니지만, 많이 읽지 않고는 좋은 글을 쓸 수 없다고 말합니다. 

 

글쓰기에는 철칙(鐵則)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많이 읽어야 잘 쓸 수 있다. 책을 많이 읽어도 글을 잘 쓰지 못할 수는 있다. 그러나 많이 읽지 않고도 잘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둘째, 많이 쓸수록 더 잘 쓰게 된다. 축구나 수영이 그런 것처럼 글도 근육이 있어야 쓴다. 글쓰기 근육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쓰는 것이다. 여기에 예외는 없다. 그래서 '철칙'이다. - (62쪽)

 

책 읽기 밥 먹는 것과 같다. 먹지 않고 힘을 쓸 수 없다. 운동과 훈련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먹지 않으면 강한 체력을 가질 수 없다.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다. 사람들은 책을 읽고 덮는 순간 내용까지 덮어 버린다고 하소연한다. 기억이 남는 것이 이상한 일이다. 내용을 모르는 것은 기억력이 나빠서도, 머리가 나빠서도 아니다.  유시민은 "굳이 단어나 문장을 암기하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읽고 잊어버리고, 다시 읽고 또 잊어버리고, 그렇게 다섯 번 열 번을 반복하면 박경리 선생이 쓴 단어, 단어와 단어의 어울림, 문장과 문장의 연결이 저절로 뇌에 ‘입력’된다. 그리고 글을 쓸 때 그 단어와 문장을 자기도 모르게 '출력'하게 된다"고 말한다.

 

읽고, 또 읽고 그리고 읽는다. 자연스럽게 단어와 문장이 기억난다는 유시민 말에 사람들은 다른 책은 언제 읽어라고 그러냐고 따질 수 모르겠다. 하지만 책도 책 나름이다. 유시민은 어휘력을 높이는 책을 소개하는 데 <토지>, <자유론>, <코스모스>를 추천한다. 특히 박경리 선생 <토지>는 우리말 보고라고 말한다. 1부를 10번 이상 읽으면 어휘력은 자신도 모르게 늘어날 것이고,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말한다.

 

"말로해서 좋아야 잘 쓴 글"

 

좋은 책을 많이 읽었다면 기초체력은 갖춘 셈이다. 체력을 길렀다고 국가대표가 될 수 없다. 욕심을 버려야 한다는 말이다. 유시민은 글을 잘 쓰려면 "훌륭하게 쓰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권투 선수가 강펀치를 날리려면 어깨에 힘이 들어가면 안 된다. 강슛도 발에 힘들이 들어가면 헛발질을 할 수  있다. 다 욕심 때문이다. 글도 마찬가지다. 좋은 글을 쓰려고 욕심을 부리면 부릴 수록 나쁜 글이 될 뿐이다.

 

어떤 글이 좋은 글일까? 한자가 들어간 수려한 문장? 외국어를 많이 쓴 글 아니다. "말로해서 좋아야 잘 쓴 글이다. 글을 쓸때는 이 원리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유시민은 말한다. 글을 읽을 때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이 잘 쓴 글. 새겨야 한다. 어렵게 쓰야 좋은 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가한 일침이다.

 

컴퓨터 시대. 더 이상 손으로 글을 쓰는 사람은 더물이다. "수첩에 손으로 글을 쓰는 아날로그형 인간은 천연기념물만큼 희귀"한 세상이다. 따라 갈 필요가 없다. " 하루에 30분 정도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수첩에 글을 쓴다고 생각해보자. 1년을 하면 150시간이 넘는다. 이렇게 3년을 하면 초등학생 수준에서 대학생 수준으로 글솜씨가 좋아진다"고 글쟁이 유신민이 말한다. 말 한 번 듣고 믿어보자. 믿었다면 당장 실천한다. 스마트폰를 무조건 내려 놓으라는 것은 아니다. 가방 안에 작은 수첩 하나를 챙겨 넣고, 생각날 때마다 손글씨를 쓰자. 쓴 글을 시간이 날 때마다 문장을 만들고, 문단을 만들자.

 

유시민은 단문을 쓰라고 말한다. "뜻을 분명하게 전하는 데 편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단문은 복문보다 쓰기가 쉽다. 주술 관계가 하나뿐이어서 문장이 꼬일 위험없기"때문이다. 한 문장 안에 주어과 술어가 두개가 있는 글도 있다. 무슨 내용인지 모른다. 글을 그림 그리기다.

 

그림과 다를 것이 없다. 보이는 것에서 시작해서 귀로 듣는 것을 거쳐 마음으로 느끼고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적으면 된다. 중요한 것은 뭐든 많이 쓰는 것이다. 문자로 쓰지 않은 것은 아직 자기의 사상이 아니다. 글로 쓰지 않으면 아직은 논리가 아니다. 글로 표현해야 비로소 자기의 사상과 논리가 된다.

 

 쓰는 이유를 생각하라

 

우리나라 논술은 기술을 가르친다. 기술이라도 배우면 낫다. 더 심각한 것은 아예 다른 사람이 쓴 글을 베낀다. 다른 사람을 글을 내 글이라고 생각한다. 어처구니가 없다. 한심한 일이다. 남이 쓴 글로 대학에 들어간다. 대학에 들어갔지만 글 다운 글을 쓰지 못한다. 당연한 일이다. 생각하는 힘을 잃어버렸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생각해야 하는 이유다.

 

글을 잘 쓰려면 왜 쓰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글쓰기는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행위다. 표현할 내면이 거칠고 황폐하면 좋은 글을 쓸 수 없다. 글을 써서 인정받고 존중받고 존경받고 싶다면 그에 어울리는 내면을 가져야 한다. 그런 내면을 가지려면 그에 맞게 살아야 한다.

 

유시민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글은 온 몸으로 쓰는 것이라고 말한다. "글은 '손으로 생각하는 것’도 아니요 ‘머리로 쓰는 것’도 아니다. 글은 온몸으로, 삶 전체로 쓰는 것이다. 논리 글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그에 맞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삶이 없다면 글을 쓸 수 없다.

 

글은 몸으로 쓰는 거다

 

 

기술만으로는 훌륭한 글을 쓰지 못한다. 글 쓰는 방법을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내면에 표현할 가치가 있는 생각과 감정이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훌륭한 생각을 하고 사람다운 감정을 느끼면서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그런 삶과 어울리는 글을 쓸 수 있게 된다. 논리 글쓰기를 잘하려면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떳떳하게 살아야 한다. 무엇이 내게 이로운지 생각하기에 앞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고민해야 한다. 때로는 불이익을 감수하고서라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원칙에 따라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기술만으로 쓴 글은 누구의 마음에도 안착하지 못한 채 허공을 떠돌다 사라질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