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책을 처음 받고나서 두가지사실에 놀랐다. 책의 제목이 직지 바로 내가 살던 고향에 바로 그것을 만들어낸 흥덕사라는 절이 있고, 고인쇄 박물관이 있는곳이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작가가 김진명씨라는 사실이다. 이전에도 고구려라는 소설을 통해서 정말 재밌게 읽었던 적이 있는데.. 사실 내가 중학교 3학년때 그와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그때는 내신으로 인해 고등학교의 합격이 이미 결정되어있던 상황에서 공부하는 친구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자유롭게 교실 뒷줄에 앉아서 딴짓을 할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그때 하두 심심해서 평소에는 잘 보지도 않던 소설책을 친구의 권유로 보게되었는데 그때 처음 시리즈 3권으로 읽어던 책이 바로 김진명씨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였다. 아 정말 이책은 우리나라의 핵무기 개발과 핵심 과학자의 의문의 죽음을 소재로 해서 그려진 소설인데 박진감 넘치는 구성과 나도 모르게 애국심이 불타오르게 했던 그책의 저자가 바로 김진명씨였던것이다.

그리고 고구려를 보았고, 이제는 직지라는 책을 만나게 되니 꼭 지인을 만난것 같은 즐거운 마음이 들어서 이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아주 즐겁게 상상을 함께 해본다.

 

소설[직지] 역시 마치 지금의 현실사회를 보는듯한 묘한 분위기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서울의 한 평범한 가정에서 아주 이상하고 엽기적인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그 모습은 이제껏 우리나라에 있던 현장의 모습과 전혀 다른 특이한것이었고, 피해자의 귀를 베어내고, 목에서 피까지 빨아낸것도 모자라 창으로 온몸을 찌르기까지 한 상황이었다.

이것은 그동안 일반적인 살해도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고, 담당 형사도 처음보는 현실에 매우 놀라워하는 모습이었고, 이것을 함께 취재차 방문한 주인공을 통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또하나 특이한 점은 일반 신문사의 사건담당 기자가 경찰보다 더 추리력을 발휘해서 사건을 풀어나가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고, 사건의 피해자인 전교수의 행적을 ?아다니면서 우리나라에 있는 세계최초 금속활자본인 직지와 이사건이 연관성이 있음을 눈치챈다.

특히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지만 그보다 78년이나 앞서 만들어진 직지와의 연결성이 아주 흥미롭게 이어지고 있다.

평소 거의 외출을 하지 않았다는 피해자 전교수의 행적은 서원대학교 김정진 교수와의 연결고리가 이어지고, 또 그를 통해서 주인공 기연은 새로운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주인공 기연은 의문점을 가지고 사건 담당 형사보다 더 집중해서 사건의 의문점들을 하나씩 파헤쳐나가는데 전교수가 방문하려 했던 외국의 주소와 또 누군가의 이름은 아비뇽의 카레나.. 이렇게 널려있던 단서들이 하나씩 수수께끼 플어나가듯이 문제점이 풀려지고 조각들이 모여진다. 마치 판도라의 상자가 열려지면서 나타나는 신기한 현상처럼 말이다.

처음엔 단순히 호기심에 접근한 특이한 살인사건이라는 배경에서 해당 사건을 하나씩 파헤치며 진실을 찾아가는 모습은 정말 읽는내내 몰입도를 최상으로 이끌어주기에 충분했다.

이렇게 책의 시작은 아주 참신하게 시작되었는데 정말 한국에서 최초로 발명되었다는 금속활자본인 직지와 독일의 구텐베르크의 이야기가 서로 ?물리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이야기들이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바로 김진명 작가 특유의 섬세함과 장점이 아닐까 싶다.

직지 1권의 이야기가 곧 2권으로 이어지니.. 너무 궁금해서 솔직히 바로 그자리서 2권을 읽어보는데... 읽으면서 아하..하고 무릎을 딱치게 만드는 사건전개에 놀라고 있다.

살인사건인 만큼 해당사건의 범인을 잡는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 범행이 왜 일어났는지의 대한 배경이 매우 궁금해지니... 이렇게 아쉽지만 1권의 리뷰는 여기서 마치고 얼른 다읽고나서 2권의 리뷰도 마저 작성해봐야겠다.

과연 이 사건의 진실의 끝에는 어떤 결말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매우 궁금해진다.

 

 

<해당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