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 읽기능력이 평생성적을 좌우한다 - 상위 5%를 결정짓는 학년별.과목별 읽기 전략
김명미 지음 / 글담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읽기능력]이란 말은 사실 제겐 생소한 말이었습니다.
읽는데 무슨 특별한 능력이 필요한 것인지, 글자만 알면 당연히 읽을수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졌지요.
거기다가 읽기능력이 성적과 연관이 된다는 것 또한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 책을 처음 접했을땐 과연 어떤 내용들이 들어있을지 궁금증이
가득했지요.
프롤로그에서 저의 궁금증은 조금씩 해소되기 시작했습니다.
[읽기능력]이란 [독서능력]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글을 단순히 읽고 이해하는것을
넘어 전달하는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글의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
이라고 하는군요.
책을 좋아하고 잘 읽는 아이는 당연히 읽기능력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게 상식이지만
책을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읽기 능력은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네요.
사실, 부모님들은 책을 아이에게 가져다 주고 아이가 책을 읽고 있는 모습만 보고
우리 아이는 정말 책을 잘 읽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과연 아이가 겉으로만
책을 읽는 척하는 것인지 정말 책의 내용을 제대로 읽고 의미파악을 하는 것인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같습니다.
저자는 이런점이 바로 가까이에 있는 부모님과 교사들이 아이의 읽기능력이 또래보다
떨어지는 것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라고 지적합니다.
또한, 읽기능력이 성적과 연관성이 높은 이유는 아이들이 읽고 공부해야할 교과서를
제대로 읽고 그 의미를 잘 파악해야 학업성취도가 높고 시험에서도 좋은 성적을 얻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고 보면 간혹 엄마들중에 "우리 아이는 연산은 잘하는데 사고력문제에 약하다."고
걱정하는 엄마들이 있는데 이 또한 아이의 읽기능력이 문제가 있어서가 아닌가 싶네요.
우리 아이도 간혹 복잡한 응용문제를 제대로 읽지않고 의미파악을 못해 헤매는 경우가
있거든요. 엄마가 설명을 해주면 "이게 그 뜻이었어요? 뭘 묻는지 문제의 뜻을 모르겠
다니까요." 하고 쉽게 풀어버리거든요.
결국 읽기능력이 좋은 아이들은 학과공부를 할때나 시험을 볼때 효과적으로 공부를 하고
정확히 문제를 해결할수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책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읽기능력은 초등2학년부터 훈련해주는게 좋다고 합니다. 초등 3학년부터 국어,수학,사회,
과학 등으로 과목이 나뉘어지고 교과서 내용도 심화되기 때문에 읽기능력이 또래에 비해
뒤쳐진다면 수업을 따라가기 버거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위해 우리 아이의 읽기능력을 진단해볼수있도록 진단평가지가 책 뒤에 부록으로
나와있고, 각 과목별로 교과서를 읽을때 어떤 방식으로 읽어야하며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할지가 나와있어 부모님이 아이를 지도할때 도움이 많이 될것같네요.
읽기능력을 강화하기위한 세부적인 전략과 학년별로 갖추어야할 읽기능력등이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어있고 읽기장애의 유형과 해결방안도 제시되어있어 여러모로
쓸모가 많은 책이네요.
특히, 다양한 쟝르의 책을 읽거나 신문,잡지를 읽어 배경지식을 탄탄하게 쌓아두면
읽기능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오늘 부터라도 아이가 책읽는 모습을 유심히 지켜보고 아이의 읽기능력에 문제는 없는지
한번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읽기능력]이란 중요한 개념을 깨우쳐준 것이 이 책을 읽으며 얻은 가장 큰 수확인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