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리막 세상에서 일하는 노마드를 위한 안내서 - 누구와, 어떻게,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
제현주 지음 / 어크로스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일을 하세요?˝
˝저는 ○○○입니다.˝
이런물음에 어떤대답을 하느냐에 따라,사람을 대하는 방식,태도가 달라진다.
명함을 건네면,어쩐지 하시는일과 이미지가 비슷하시네오 라는 말을 자주 듣고는 한다.
사람들은 직업에 따라 자신들의 기존에 갖고있던 생각을 투영해, 판단을 내린다.
정규직 비정규직, 변호사,의사, 대기업,중소기업
교수,조교 ,사무직,생산직 등등
대하는 방식도 천양지차.
직업이 곧 `나`에 모든것이 되는 순간이다.
나의 정체성은 내가 생각하는 것 만이 아니라.
동시에 세상이 사람들이 부여하는 것이기도 하다.
직업이 내전부는 아니지만,아니라고 해봤자 무슨
소용일까
나 역시 직업이 갖는 존재양식,이미지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고 낮춰보진 않았나 반성해본다.
좋은 직업이란 무엇일까
여유있고 칼퇴근 할수 있는 직업? 보수가 많은 직업?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프로페셔널?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다면 마냥 행복할까
좋았던 일도 지치면 권태를 느끼고 남에떡에 침삼키진 않을까
개인마다 기호나 가치판단이 다르기 때문에 옳다 그르다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자신만의 가치관과 기준을 설정하고, 사회와 타인들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는것&어떤 일을 할때 흥미와 능력이 배가되고 만족적 일체감을 느끼는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빠른속도로 기계화되고,자동화되는 시스템과 갈수록 줄어드는 고용율을 볼때, 자녀들이 살아갈 미래는 쉽지 않을 것 이다. 없어지는 직업과 일자리는 많아질 것이고
어떤 직업이 우대를 받고,안정적일지 알 수 가 없다.
부모로써 해줄 수 있는 건, 독서와 경험을 통해 쌓은 지식과 지혜가 신앙이되어 삶을 직시하고 예측하며 삶이 가지는 공포와 허무를 감내하고 회복하는 탄력성을 길러줄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한다.
끝에는 답없이 책타령 독서예찬을 하게된다.밤이깊었다 자야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