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여 안녕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안은 죽어서 세실에게 슬픔이 되었다.
진정 슬픔이라는 감정을 마주 대하고 그것이 무엇인지 아는 세실이 되었으리라.
슬픔이여 안녕에서 안녕이 봉주르 인 것을 책 뒤의 작품 해설을 보고서야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말이 그 전에 가지고 있던 이미지와 완전 다른 것으로 다가왔다.
세실의 성장이 느껴졌다.
한 순간의 충동적 감정으로 시작된 장난의 파국이 간단한 줄거리라 할 수 있는데 주인공 세실은 사춘기 소녀라고 단순히 보기 어려운 매우 복잡하고 섬세한 면이 있다. 그녀의 아버지 레몽, 젊은 연인 엘자, 세실을 사랑한 시릴까지 모두 경박하고 허영심 있는 사랑의 포로들 같은 사람들이고 지적이고 엄격한 안은 이들과 대조되어 외로운 상대진영의 인물이다. 대체로 세실도 줄곧 인정하는 멋진 안 이지만 완벽한 안과 같은 인물을 나도 좀 알고 있는 면이 있어 세실의 장난에 내심 공모하듯 읽기도 했던 것 같다. 결국 돌이킬 수 없는 결말에 이르러 공모했던 커플들은 와해되고 한동안 애도의 기간을 가진 부녀는 다시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고 문득 꿈에서 만나는 안은 세실의 “슬픔”이라는 감정을 가져다 준다. 이 모든 것이 너무나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인간사이지 않나.
보는 사람에 따라 끔찍한 트라우마일 수도 있지만 살아있
는 사람의 삶은 계속 되는 것 처럼.
브람스를 좋아하세요와 비슷한 정서로 내게는 읽혔던 것 같다. 인간의 내면을 이렇게 솔직하고 정교하게 다 글로 표현할 수 있는 작가는 여태 내가 본 중엔 정말 드문 작가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