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술 넘어가는 우리역사 5 - 대한제국부터 통일운동시대까지
한우리역사독서연구회 엮음 / 해와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적은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간략하게 정리하여 썼습니다. 

  석조전은 우리나라 궁궐 건물에서 보기 드문 서양식 전각으로 유명하다. 돌로 지은 건물이란 뜻으로 석조전이라고 부르는데, 1900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1909년에 완성되었다. 이 건물은 영국인이면서 대한 제국의 재정 고문이었던 브라운이 고종에게 건의하여 짓게 되었다. 영국인 하딩 등이 설계하였고, 1905년부터 일본의 오쿠라 토목 회사가 공사를 맡아 완성하였다. 그런데 우코라는 뒷날 조선의 궁궐을 파괴하고 문화재를 빼돌린 대표적인 인물이다. 석조전은 1946년 미,소 공동 위원회가 회의장으로 사용하기도 했고, 국립 박물관과 현대 미굴관 등으로도 쓰였다. 지금은 궁중 유물 전시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내용을 보면서 우리나라는 비록 약한 나라이기는 한지만 문화재로는 많은 양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남의 나라의 도움으로 인하여 건죽물들을 만들기는 하였지만 그만큼 우리나라를 도와주는 나라가 많으니 다행이라고 생각이 든다. 

  중명전은 고종 황제가 덕수궁으로 돌아갈 무렵에는 서양식 전각이 여러 채 세워졌다. 정관헌, 중면전, 돈덕전, 구성헌, 환벽정, 석조전 등이 모두 서양식 건물이었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남은 건물은 정관헌과 석조전, 그리고 중명전뿐이다. 지금 중명전은 덕수궁 돌담길 바깥쪽에 있든데, 그건 일제가덕수궁 터를 나누어 팔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덕수궁 터는 원래 크기의 3분의 1로 줄어들었고, 중명전 등의 건물은 덕수궁 밖으로 내쫓긴 모습이 되어버렸다.  

  이 내용을 보면서 알게된 점으로는 우리나라는 많은 문화재와 문화유산을 가지고는 있었지만 그때 당시의 허술한 경계로 인하여 많은 양의 문화재가 회손되었고, 그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역사가 많이 없어져 버렸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때만이라도 잘 버텼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을거라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