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EBS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제작팀 지음 / 해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왜라는 단어가 눈에 확 들어오는 표지. EBS다큐프라임에서 방송을 했던

그 내용들이 책으로 묶여 나왔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었습니다.

다큐멘터리를 시청한 후라 그런지 책으로 정리되어 있는 것을 만난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것을 다시 짚어줄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답니다.

차례만 보아도 어떤 주제로 이야기들이 전개가 되는지 미리 알 수 있답니다.

방송을 본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들인지 짐작을 할 수 있지만 방송을 안봤다 하더라도

책을 보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방송을 봤을 때 인상적이었던 장면들이 몇 있었답니다. 그 중에서도 기자들을 불러놓고

G20 정상회의 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 기자들에게 질문권을 주는 장면이었죠.

아무도 나서지 않고, 재차 우리나라 기자들에게 질문을 해보라는 오바마 대통령.

결국은 중국 기자에게 기회가 넘어가는 장면이 있었답니다.

개최국인 한국에서 질문하는 기자가 하나도 없었던 것.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질문을 해보라고 말까지 하는 장면이 연출되니 정말 당황스러운 부분이었을 것입니다.

그런 것에 익숙치 않다는 것이 국제적으로 드러나는 사건이라면 사건이었다고 보여지는데요. 이것이 기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교육의 현실이라는 문제점을

일깨워주는 일이었다는 생각을 누구나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많은 유학생들이 한국을 떠나 공부하면서 질문하고 토론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다는

것을 얘기하는 장면 또한 이 부분과 매치시켜 볼 수 있는 문제였답니다.

문턱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문턱만 넘으면 끝인 줄 알았는데, 또 다른 문턱이 기다리고 있다는.

학생들에게 대학만 들어가면 모든게 끝나는 것처럼 말하고 대학만 들어가길 바랐던

그것이 과연 진실이었을까요. 아이들에게 그런 미래를 얘기하면서 공부만 강요했던

것이 어떤 문제점을 낳는지 절실히 깨닫게 해주는 내용들이 이 책속에 들어 있습니다.





진정한 행복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때를 너무 놓치면서 살았던 것은 아닌지

우리의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 다시금 깨닫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제일 꽃다운 시절인 10대를 이렇게 보내게 하면 안되는데 하는

안타까움을 매일 느끼면서 사는 것 같습니다.

그냥 학교 공부 자체가 너무 어려워진 요즘 아이들.

영어도 3학년부터, 역사도 초등학교로 내려와 있고, 여러 면에서 지식을 쌓아야지만

하는 상황에 몰려 있는 것 같습니다. 놀아야 할 초등학교 공부부터 너무 아이들을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고, 빨리 공부에 흥미를 잃어버리게 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공부 방향을 잘 잡아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계속 하던 차에 이 책을 보니 정말 그 심각성을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공부란게, 우리가 사는 인생의 지혜를 쌓아가는 것이고, 자기의 개성대로

능력을 쌓아가는 것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교육에 새롭게 눈을 뜨게

도와준  책을 읽어본 기분이었답니다.

부모의 역할을 정말 중요해짐이 느껴집니다. 공부의 길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는지

아이들을 지켜보면서 옆에서 좋은 조언을 해주는 부모가 되는 길은 미래를 예측하고

어떤 인재가 필요할지 생각해두는 그런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