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
송승용 지음 / 엘도라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생활에서 궁금했던 것들, 다소 잘못알고 있었던 것들에 대해 우리편에 서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은 한번씩 읽어두면 좋을 듯하다.

나중에 다시 한번 꺼내볼 만한 내용을 요약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

1. 노후대책(역모기지론만으론 부족 ①~③ 혼용)

  ①주택금융공사(주택연금) 활용

    - 부부사망시까지 연금지급, 사망후 경매하여 상환조치

    - 유형 : 종신지급형, 종신혼합셩

    - 장점 : 경매금액이 적어도 나머지 상환의무 없음

    - 단점 : 이용중 권리변경 OR 자식상속 불가

            6억이하 주택만 가능, 연금수령액이 적음.

  ②보험사(연금상품) 활용

    가. 65세 퇴직자가 3억 현금 예치시(4.8%이자 가정)

      ==> 매월 150만원 수령(단, 자식상속조건시 매월 100만원 수령)

    나. 65세 퇴직자가 3억 APT 담보시(4.8%이자 가정)

      ==> 매월 86만원 수령 불과

  ③채권매입후 분기별 이자지급(5년 만기 선박펀드) 받는 방법

     (또는 저축은행 예금상품-매월 이자지급 방법 활용)

 

2. 보험연금시 함정

  - 납입 10년, 매년 300만 소득공제

    (BUT, 10년후 일시불 수령시 모든 혜택[(원금+이자)*22%] 토해냄)

 

3. 휴면카드 조회 사이트

  - 크레딧포유 : www.credit4u.or.kr

  - 한국신용정부(주) : www.mycredit.co.kr

  - 한국개인신용(주) : www.allcredit.co.kr

 

4. 상호저축은행 이용시(일명:저축은행) 체크할 사항

  - 4700만원 이하, 1년 이하 단기자금 경우만 활용

    (예금자 보호법상 5000만원 상한은 이자포함. 따라서 원금은 4700만원이하)

  - 저축은행 이용시 아래 사이트를 통해 아래 2가지를 검토하여 건실한 은행 선택

    가. BIS 비율 (8% 넘고) + 고정이하 여신비율(8%넘지 않은) 은행 선택

      * 고정이하 여신비율 : 전체대출중 연체 6개월이상 대출비율

   나. 지점수, 직원수가 많고, 자산규모가 큰 은행

    <검색사이트>

   ①상호저축은행 중앙회(www.fsb.or.kr)

      *상단메뉴-‘저축은행’-경영공시-해당은행 클릭-전자경영공시-4.주요경영비율

   ②금감원 금융통계시스템(http://fisis.fss.or.kr)

5. 보험

  - 포괄식(네거티브) : 보장안되는 내용열거(그외 모두 보장)

  - 열거식(포지티브) : 보장되는 내용 열거(그외 모두 보장안됨)

   * 홈쇼핑에서 판매하는 보험은 대부분 열거식으로 조심할 것.

 

6. 카드 연말정산의 함정

  - 기준 : 연간 총급여의 15%를 초과하는 금액의 15% 공제(500만한도)

           [2008년부터 15% →20%상향예정, 더욱 공제금액 줄어듬]

            *차라리 현금결재에 따른 할인혜택이 보다 유용함

  (예시) 연봉 6,500만원인 홍길동씨의 카드공제 허와실

     1) 카드공제 대상금액 : 9백75만원 초과분 사용분부터 공제대상됨

      * 연봉 6,500만원 * 15% = 9백75만원

     2) 카드공제 한도 : 홍길동씨는 500만원이 아닌 143만원이 한도임

      * 6,500만원 연봉자의 소득세율(주민세포함)는 28.6%임

      * 500만원(총한도) * 28.6% = 143만원(홍길동씨 한도)

     3)따라서, 홍길동씨가 2,000만원을 카드로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2,000만원 - (6500만원 * 15%)] * 15% = (2000만원-975만원) * 15%

        = 1,025만원 * 15% = 154만원 (한도 143만원이내 공제)

   (역공식) 카드사용한도(x) = (공제한도/15%) + (연봉 * 15%)

                           = (143만원/15%) + (6500만원*15%)

                           = 953만원+975만원 = 1,928만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