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임 소설, 향
조경란 지음 / 작가정신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3년 나온 <움직임>의 개정판이다. 개정판인 만큼 기존의 소설에 덧붙여서 나온 부분들이 있다. 개정판 작가의 말과 초판 작가의 말이 함께 실려 있다는 것 자체가 독특했다. 과거의 나를 회상하며 시작하는 개정판 작가의 말. 이십 칠 년 동안 작가에게는 어떤 일이 있었고, 그 시간 동안 이 소설이 작가에게 어떤 의미가 되었는지 개정판 작가의 말에 실려 있었다. 개정판 작가의 말을 읽고 초판 작가의 말을 읽으면 지금보다 어리고, 소설을 끝낸 순간에 빠져있는 작가를 만날 수 있다. 소설은 '나에게 새 가족이 생겼다'로 시작한다. 중편소설 <움직임>은 조경란 작가의 가족론을 담아낸 소설이다. 구글 도서에 따르면 실제로 소설 속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 중 하나가 바로 '가족'이다. 이 소설은 '나'에 대한 소설이자 '가족'에 대한 소설이다. 소설 속 주인공인 이경은 엄마를 잃고 외할아버지를 따라 외갓집으로 간다. 혼자가 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족이 생겼다는 첫 문장과 달리, 혼자 밥을 먹고 가족을 기다리는 이경의 모습이 나온다. 이경에게는 정말 '가족'이 생긴 것일까? '가족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보다 나에게 가족이란 무엇인가로 돌아오는 물음이 맞을 것 같다. 소설이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서 그런 것일까. 소설을 읽으며 '나에게 가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게 되었다. 나에게 가족은 안식처, 믿을 수 있는 존재다. 나는 집 밖으로 움직일 수는 있지만 온전히 떠나지는 못한다. 보이지 않는 끈으로 집과 연결되어 있다. 내가 안정될 수 있게 만든다. 가족이 되기 위해 이경은 노력한다. 집은 이퀄 가족이다. 편히 쉬어야 할 집이란 공간에서조차 노력해야 하는 이경. 이 모순이 이경의 고단함을 증폭시킨다. 나라고 이경과 다를까. 가족도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평론가님의 말에 공감한다. 가족이라는 말의 무게감이 덜어지고 있는 사회에서, 가족을 일구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에 대해 소설은 말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살아간다. 각자의 방식으로 꿋꿋하게. 이 소설은 그 사람들에 대한 소설이다. 소설의 제목이 왜 <움직임>인지 생각해보았다. 이곳에서나 저곳에서나 가족이 되기는 힘들다. '움직여야' 간신히 가족을 만들 수 있다. 어느 곳도 안전하지 않다. 움직임은 '선택'을 말한다. 주인공 이경이 가족을 만들고 싶어 외할아버지를 따라나선 '선택', 더는 떠나는 것이 아닌 결국 남는 것을 택한 '선택'. 120쪽 정도 되는 중편소설이라 부담없이 읽을 수 있어 좋았다. 말 자체는 어렵지 않게 술술 읽힌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난 후, 가족에 대한 사유는 그 어느 때보다도 진지하고 깊게 이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선 너머 인생그림책 32
오소리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선 너머>는 내가 생각한 ‘나의 시선‘ 너머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어요. 내가 선의로 한 일일지라도 누군가에게는 불편함으로 다가갈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선의‘라는 나의 시선 너머에 있는 ‘불편한 진실‘. 여러분은 이것을 얼마나 잘 마주하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선 너머 인생그림책 32
오소리 지음 / 길벗어린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선 너머>를 읽으며 많은 생각을 했어요. 나는 좋은 마음으로 한 일이 남에게는 그렇게 와닿지 않을 수 있구나를 다시 한 번 더 깨달았습니다. 나의 시선이 닿지 않는 그 너머의 이야기. 나는 알 수 없는 너머의 이야기. 그렇기에 그 이야기를 들을 때 신중해야 하죠. 나는 그런 의도가 아닐지라도 상대가 그렇게 느꼈다면 사과해야 하고요.

<시선 너머>에는 투구 곰, 고깔 곰, 꼬마 곰. 이렇게 세 마리의 곰이 나와요. 투구 곰과 고깔 곰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갈라지고, 꼬마 곰만이 남게 되죠. 이 둘은 꼬마 곰을 자신의 편으로 데려오기 위해 노력해요. 그렇다면 왜 투구 곰과 고깔 곰은 서로를 싫어하게 되었을까요? 바로 자신의 시선 너머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고깔 곰은 투구 곰이 폭죽을 터트렸을 때, 너무 시끄러워서 잠을 자지 못했어요. 투구 곰은 모두를 행복하게 만들어주고자 했지만 고깔 곰에게 피해를 입혔죠. 고깔 곰은 투구 곰의 생일을 축하해주고자 선물을 잔뜩 사줬는데요. 알고보니 그 선물은 투구 곰이 무서워하는 곰인형이었어요. 둘 다 선의로 한 일이었지만 상대에게 상처를 입히고 말았죠.

이 둘은 서로의 '시선 너머'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어요. 고깔 곰은 좋은 마음으로 폭죽을 터트린 투구 곰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투구 곰은 고깔 곰이 힘들 수도 있었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했어요. 나의 시선 너머, 상대를 살피지 못한 것이죠. 그 시선 너머의 상황을 몰랐을 때는 그럴 수 있다 치지만 서로의 상황을 알고도 둘은 사과하지 않아요. 때문에 감정의 골은 더 깊어지죠.

두 곰 모두 사실을 이야기 했어요. 또 이면에는 또다른 진실도 숨어있죠. 그러니 깨진 꿀단지처럼, 이미 벌어진 일이에요. 돌이킬 수 없죠. 그것이 어떤 파장을 데려올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될 겁니다. 꼬마 곰은 둘을 택하지 않아요. 둘이 싸우는 동안 산은 타버렸거든요. 꼬마 곰은 그 숲을 벗어나 새로운 길을 찾아갑니다.

시선 너머의 이야기. 그렇기에 신중해야 할, 또 잔잔히 받아들여야 할 이야기. 나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이야기를 전해주는 사람들에게 감사함을 여겨야해요. 투구 곰와 고깔 곰처럼 서로를 탓하지 말고요. 그러다가는 누군가는 곁을 떠나게 될지도 몰라요. 결국 꼬마 곰이 그 숲을 벗어나 자신의 여정을 떠나는 것처럼 말이죠.

나 또한 의도는 없었으나 상대가 기분이 상했다고 하면 따지고 들려 하지 말고 이해하고 사과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나의 시선 너머에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고 조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아요. 책이 비유적이라 어린아이들은 이해라기가 조금 어려울 수도 있어요. 그러니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부터 추천합니다ㅎㅎ 여러분들도 <시선 너머>을 보며 나는 남을 잘 배려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은 고양이 인생그림책 9
이덕화 지음 / 길벗어린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 기운‘을 사랑스러운 봄의 전령, 야몽으로 형상화해서 보여줍니다. 4월, 봄의 초입에 서서 읽기 좋은 책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은 고양이 인생그림책 9
이덕화 지음 / 길벗어린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은 고양이>는 봄 기운에 대한 그림책이에요. '봄 기운'을 사랑스러운 봄의 전령, 야몽으로 형상화해서 보여줍니다. 4월, 봄의 초입에 서서 읽기 좋은 책이었어요. : )

'봄'과 가장 잘 어울리는 동물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봄은 고양이>에 나온 것처럼 고양이라고 생각해요. ฅ^•ﻌ•^ฅ 고양이는 따뜻한 걸 좋아하고, 나른하기도 하고, 또 부드럽잖아요! 작가님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신 것이겠죠? 봄의 정령을 고양이로 정하신 것을 보면요.ㅎㅎ

봄을 만드는 아주 작은 고양이, 야몽은 민들레 씨앗처럼 산들바람을 타고 세상에 퍼져요. 사람들에게 저마다의 봄을 가져다주죠. 때때로 야몽은 사람들을 나른하고 둔하게 만들고... 졸음을 몰고와요. 우리가 봄이 되면 졸린 이유. 춘곤증이 생기는 이유가 전부... 야몽 때문이었나봐요! 또 야몽은 사람들의 마음을 간지럽혀 설렘을 만들기도 하는데요. 봄이 되면 싱숭생숭하고 설레는 이유도 여기 있어요.ㅎㅎ 야몽이 닿는 곳에는 싹과 꽃이 피어납니다. 야몽이 땅에 스미면 비로소 완연한 봄이 됩니다.

표지, 그림, 글꼴. 이 삼박자가 완벽한 그림책이에요. 따로 노는 것 없이 한데 어우러져 봄이 데려오는 나른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그림책은 눈으로도 읽는 것이기에 분위기 형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이 그림책은 딱 봐도 '봄', 그리고 '봄'의 나른함과 설렘, 보송보송함을 표현하고 있는 게 느껴져요.

표지가 '패브릭' 표지예요...! 따로 코팅이 되어있지 않아요. 표지의 부드러운 감촉을 위해 패브릭 표지를 사용했습니다. 그림은 회색조에 형광 노랑 하나만을 사용해 '야몽'에 주목할 수 있게 만들었고요. 글꼴은 얇은 손글씨를 택해 '눈에 보이지 않고 사랑스러운 정령' 야몽을 표현했어요.

그림체가 너무 귀여워서 정말 행복했습니댜. 올망졸망한 야몽들이 사랑스러웠어요.ㅎㅎ 이 책을 읽으며 봄이 왔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이런 야몽들이라면 졸려도 괜차나... 짱 귀여워...) 야몽들이 민들레 씨처럼 이곳저곳 세상을 돌아다닌다는 것도 좋았어요. 저는 가끔 민들레 씨를 보며 작은 요정 같다고 생각하고는 했거든요. 어쩌면 제가 봤던 민들레 씨도 민들레 씨가 아니라... 야몽이었을 수도..!!

책에서는 야몽이 '봄을 데려오는 작은 고양이'로 형상화 되었어요. 야몽은 봄 기운의 모든 것이에요. 슬슬 피어오르는 아지랑이가 될 수도, 따뜻한 볕이 될 수도, 하늘을 날아다니는 씨앗이 될 수도 있어요. 나른하게 내려오는 눈커풀이 될 수도, 가슴이 간지러워지는 설렘이 될 수도, 망울진 꽃봉오리가 될 수도 있어요. 봄을 말하는 모든 것이 야몽이랍니다.

이 책은 길벗어린이의 인생그림책 시리즈 중 한 권이자, 스테디셀러인 작품이에요. 어른과 아이 구별 없이 읽을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 즐기기에도 좋아요. <봄은 고양이>를 읽으며 지금 나는 어떤 야몽을 느끼고 있는지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