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문화의 겉과 속 - 모든 문화에는 심리적 상흔과 이데올로기가 숨어 있다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역시 세계는 넓고 할 얘기는 많구나 싶다. 강준만은 재밌는 나라 한국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서도 규형감을 잃지 않는다. 역사와 공간을 넘나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문화의 겉과 속 - 모든 문화에는 심리적 상흔과 이데올로기가 숨어 있다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만 해도 지역마다 특색이 많이 다르다. 산 너머 강 건너 삶이, 문화가 다르다. 바다 건너 세계는 어떨까? 이 책 <세계 문화의 겉과 속>은 세계를 편견 없이 들여다 볼 기회를 제공한다. 물론 세계는 너무 넓고 방대해서 책 한 권으로 겉과 속을 다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무리 이 책이 888쪽이나 돼도 마찬가지일 터. 그래도 기본 안내는 충실한 편이다. 강준만의 장점이 이상론과 현실론 사이에서 균형을 잃지 않는다는 점인 것처럼 이 책 또한 강준만의 장점이 충분히 녹아 있다.
모든 문화에 장점과 단점이 있고 열등감과 우월의식이 있단다. 그 잘난 미국도 역사가 짧다는 열등감은 어쩔 수 없나 보다. 역사가 길다는 영국은 너무 수줍어하는 경향이 있단다. 이름하여 ‘공손한 꾸물대기’라고. 프랑스와 독일은 바로 붙어 있는 나라지만 또 많이 다르다.

“프랑스 기업에 채용된 한 독일인은 갑작스럽게 해고 통보를 받고 ‘내가 잘못한 것이 있다면, 왜 미리 지적해주지 않았는가?’라는 반응을 보인 반면, 독일 회사에 근무하는 한 프랑스인은 스스로 사직서를 내면서 ‘상급자가 시시콜콜 간섭이 많아 싫다. 내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데, 늘 잔소리를 들어야 하니 괴롭다’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25쪽.

그러면 우리는 어떤가? 외국인이 본 우리 조직 문화의 난점은 바로 ‘칸막이 문화’다. 황우석 사건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나? “연구원들끼리 의사소통이 왕성하게 이뤄지는 꿀벌통 같은 미국 실험실과 달리 황 교수 실험실은 고도로 칸막이화된 공장 조립라인을 닮았다.”(<워싱턴 포스트> 기사)  
그래도 우리도 많이 진보한 거 같기는 하다. 개고기 문제에 관해서 이제는 여유 있게 대응하는 걸 봐서는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일 줄 알게 됐다고 할까? 강준만은 이런 사례에서 문화 상대주의를 설명하는데 덕분에 책이 학술서처럼 딱딱하지 않고 술술 읽히는 편이다. 통 크게 세계 문화를 이해하려는 사람이라면 읽을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철수의 힘 - 2012 시대정신은 '증오의 종언'이다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2년 월드컵이 끝나고 참 많이 아쉬웠다. 월드컵 4강을 이룩한 ‘히딩크의 마법’ 이후를 준비했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랬다면 대한민국 축구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 수준에 도달했을 것이다. 그 귀중한 시간을 바보 같은 축구협회가 말아먹었다는 게 내 생각이다.


곧 다가올 2012년 대통령 선거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2007년에 엉뚱한 놈을 대통령으로 앉혀 놓는 바람에 5년을 허송세월했다. 뭐, 딱히 대안이 없기는 했지만 그래도 너무나 아쉬운 시간이었다. 이번 2012년 선거는 어떨까? 또다시 5년을 낭비할 것인지, 새롭게 도약할 발판을 만들 것인지 궁금하다.


강준만은 거의 예언자 수준이다. 강준만은 두 번이나 대통령을 만든 사람이다. 1997년에 김대중, 2002년에 노무현. 우리 시대에 이만큼 시대정신을 읽어 낼 수 있는 사람이 또 있을까? 이번에는 안철수를 들고 나왔다. 2012 시대정신은 ‘증오의 종언’이기 때문이다.


마침 오늘 <안철수의 생각>이 출간됐다. 안철수의 생각을 직접 들어 보는 것도 좋겠지만 안철수를 냉정하게 비평해 주는 <안철수의 힘>도 괜찮을 듯하다. 어쩌면 안철수의 생각을 안철수보다 더 잘 파악할 수 있는 책일지도 모른다. 안철수를 둘러싼 ‘밀당’을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안철수에 대한 비판에 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올해 대통령 선거는 더욱 흥미진진해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조와 노무현 - 개혁을 품은 왕, 시민을 꿈꾼 대통령
김용관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2007년 7월에 KBS에서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한성별곡>이란 드라마를 했다. 8회짜리 짧은 사극에 이름 짜한 배우 하나 없었지만 정말 잘 만든 드라마였다.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도 남을 만큼 훌륭한 각본과 연출이었다. 그렇게 완성도가 상당한 드라마였지만 나는 보고 나서 많이 힘들었다. 드라마에는 정치에 대한 허무주의와 패배주의가 가득했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현실을 투사하는 듯했다. 정조는 노무현을, 노론은 한나라당을, 신도시 화성은 행정 수도 세종시로 읽힐 여지가 많았다. 무엇보다 개혁은 좌절되고 개혁가는 스러졌다.

 

<정조와 노무현>은 정조와 노무현이 어떻게 비슷하고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한 책이다. 그동안 정조와 노무현을 비교하는 이야기는 많이 있었지만 왜 아무도 이런 책을 쓰지 않았을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무척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제공한다. 정조가 등극한 18세기와 노무현이 집권한 21세기에는 어떤 시대적 요구가 있었을까? 정조와 노무현은 시대정신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200여 년이란 시차를 넘나들며 역사와 정치를 비교하는 작업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덕분에 독자는 역사와 정치를 조각이 아니라 통으로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하지 않을까 싶다.

 

마르크스는 “역사는 반복된다. 한 번은 비극으로, 한 번은 희극으로”라는 말을 남겼다. 이제 곧 총선이다. 나는 비극도 희극도 바라지 않는다. 다만 상식이 통하는 세상, 순리대로 흐르는 세상이 되기만을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 차이가 성공을 만든다 - 누가 성공하고 누가 실패하는가
강준우 지음 / 북카라반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에 아는 분 서재 정리하는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다. 한 5,000권 정도 되는 책을 분류 체계에 따라 컴퓨터에 입력하고 순서대로 책장에 꼽는 일이었다. 한 달쯤 일한 거 같다. 정리하면서 보니까 리더십에 관한 책이 책장 하나를 꽉 채울 만큼 많았다. 200권 정도? 그때는 단순하게 무슨 책이 이렇게 많을까 의아하기만 했다.


사실 난 리더십이니 뭐니 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 그러다 웨스트 윙(west wing)이란 미드를 보면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웨스트 윙은 미국 대통령 보좌관들이 일하는 곳이다(대통령 집무실은 오벌 오피스(oval office), 대통령 부인 사무실은 이스트 윙(east wing)). 이 이름을 따서 정치 드라마를 만든 것인데, 대통령과 보좌관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아주 잘 보여 주는 정치 드라마다. 드라마라 더 그랬겠지만 정말 열심히 멋있게 일한다. 그 백악관 직원들의 중심에 대통령이, 무엇보다 대통령의 리더십이 있었다.

잘하면 조직뿐만 아니라 조직원까지 성장하게 하는 리더십. 세상을 혼자 살게 아니면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할 것이었다. 그런 면에서 이 책 <2% 차이가 성공을 만든다>는 리더십 입문서로 아주 좋았다. 리더십의 중요한 덕목 49가지를 정리한 게 일목요연하고 그 사례가 설명돼 있어서 간단하게 읽기에 나무랄 데 없기 때문이다. 회사 신입 사원 교육용으로 상사 승진 기념 선물용으로 좋을 거 같다.

“결정해야 할 순간에서 최선은 옳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고, 차선은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최악은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않는 것이다.”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한 말이란다. 보면서 딱 나한테 맞는 구절이란 생각이 들었다. 난 심사숙고가 지나쳐 일을 그르친 적이 많다. 그래 봐야 점심으로 뭘 먹을까 고민하다 고르지 못해 아무것도 못 먹는 식이었지만 말이다. 회사 다니다 깨달은 것도 비슷하다. 좋은 결정은 아닐지라도 빨리 결정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게 더 중요한 거 같다. 좋은 결정을 빨리 내릴 수 있게 연습하는 게 제일 좋겠지만 미루지 않고 빨리 결정하는 버릇이라도 들여야겠다. 아마 이런 게 지은이가 말한 2% 차이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