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1월은 언제나 신간이 적은 달이다. 출판사들이 지난해 매출을 위해 이미 12월에 나올 책을 다 내버렸을 뿐 아니라, 1월은 회사들이 원래 바쁜 달이기도 하지 않은가?

그럼에도 몇권의 눈에 띄는 서적들이 보인다. 세권만 적는다.

 

 

 

 

 

 

현대 중국을 만들어낸 그 주변의 책들은 무엇이었을까? 특히 마오가 살아가던 시대에는 책의 영향력이 매울 컷을 터. 어떤 책들이 그의 사상과 삶에 엮여 있을지 그 궁금증을 풀어주길 기대한다.

 

 

 

 

 

 

 

 

 

 

 

 1905년부터 1925년이라는 시기 동안 일본에서 펼쳐진 민주주의적 경향의 시기를 다룬 저서다. 일본의 현대사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경유해야 할 시기인데, 이 책이 그 궁금증을 풀어주길 기대한다!

 

 

 

 

 

 

 

 

 

 

 

한국사회에서 90년대 이후 인기몰이를 했으며, 최근 푸코의 강의록이 새로 번역출간되면서 다시 한번 푸코의 인기가 주가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프랑스철학이 세계적으로 더군다나 한국에서 인기를 끄는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은 무엇일까? 어쩌면 또다른 소비품으로 푸코는 전락해버린 것은 아닐까? 푸코 이론이 매력적인 소비품인지 아니면 새로운 변혁을 위한 도구일지 저자의 이야기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댓글연결 방법 안내

 *여러 책들 중에 주목 신간을 고른다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할지 그것은 각자마다 다를 것이다. 본인은 최대한 한국과 관련된 주제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지금-여기의 문제에 어떤 실마리를 던져줄지 모른다는 막연한 기대와 함께...

 

 

  

 

인문사회 독자라면 이진경의 저서는 한번쯤 읽어보았을 것이다. 유명한 운동권이자 이후 프랑스 철학의 한국소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저자이다. 아카데미 바깥의 수유연구소를 만든 초기 멤버인 그의 신작이다. 맑스와 들뢰즈 등을 경유해온 이 사회학자가 연구한 불온한 것들이란 과연 무엇일지 궁금하다. 

 

 

 

 

분단체제가 여전히 작동중인 한국에서 북한은 미지의 세계이다. 때로는 한민족으로 때로는 '위험한' 불편한 존재로 한국사회에 출몰한다. 이러한 북한에 대한 한국사회의 좁은 인식을 넓히는 데 한국사 연구자인 김성보가 북한정권 초기 인민민주주의를 중심으로 1권을 썼으며 정치학자인 이종석이 주체사상과 유일체제를 중심으로 2권을 썼다. 북한을 이해하는 데 개론서 격으로 도움을 줄 듯하다. 

 

 

 

김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작년 12월에 출간되어 100만부 이상 팔리면서 2011년 청춘은 한국사회의 주요 키워드가 됐다. 특히 반값등록금과 실제 서울시립대 반값등록금 현실화를 새로 당선된 시장이 시행하겠다는 언급 등 한국사회에서 '청춘'은 주요한 키워드로 떠올랐다. 여러 진보적 인사들의 인터뷰에서 고단하고 힘든 청춘들은 어떠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최근 중동의 민주화 바람과 함께 독재와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책의 주장처럼 가난한 나라에서 파괴적이고 반인륜적인 정치권력이 등장할지는 책을 추후 읽으면서 논증해야겠지만, 어쨌든 과거 60~80년대 최빈국이자 군부독재를 동시에 경험한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면서 읽는다면 흥미로운 책이 될 듯하다. 

 

 

 

 

 아프리카 여자가 19세기 서양인종주의에 어떻게 희생되어갔는지를 추적한 책이라고 한다. 19세기 서양의 폭력과 그 안에서 살아간 아프리카 여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서양인들이 조선에 들어와서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았을지와 비교해본다면 좀더 흥미로운 독서가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댓글연결 방법 안내

차가워진 날씨와 높아진 하늘 그리고 햇살이 따가운 계절이 돌아왔다. 거실로 들어오는 햇살을 맞으며 이번달에 무슨 신간을 읽을지 하나둘 검색 후 선정해보았다. 처음 해보는 알라딘 시간평가단 활동에서 나는 무엇을 읽을지 또 무엇을 읽었으면 좋을지 누군가에게 추천해보는 이 '잉여짓'이 어떤 의미를 발생할지 기대된다.

                                              

  

김성동은 한국현대사 관련 책을 여러 출간한 '소설가'이다. 태백산맥처럼 70~80년대 한국현대사를 이야기하지 못하던 시절, 소설은 우리의 숨겨지고 억압된 과거를 드러내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 민주화 이후 이제는 이런 소설의 역사성은 사라져가며 이런 소설이 거의 사라져갔다.  

 비록 소설은 아니지만 한국현대사에 해박한 김성동 소설가가 김성동이라는 정치인을 따라 우리 현대사의 질고을 어떻게 해집어 놓았는지 궁금하다. 

 

 

  

 2000년대 들어 월드컵 응원을 위해 붉은 옷을 입고 모였던 사람들과 미국산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해 촛불을 들고 광장을 가득 채웠던 사람들. 그들의 에너지는 어디에서 오는 것이며 그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대중운동은 '무서운 에너지'를 수반한다. 그 에너지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나찌처럼 세계전쟁을 일으킬 수도 있고, 1987년 6월항쟁처럼 민주화의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실제 대중의 삶인 노동자로 살아가면서 "나치즘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유럽이 황폐화된 직후"인 1951년에 발표된 이 책이 대중의 에너지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궁금하다.  

 

 

  

2000년대 대학의 고전 강의를 텔레비전에 등장시키며 시청자들의 인기를 끌었던 김용옥이 돌아왔다. 요즘은 그때만큼 크게 이슈가 되지 않는 듯하지만, 나 역시 당시 인문학을 전혀 모를 때 이런 이야기도 있구나 하며 철학과 고전에 관심을 갖게 해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저자이다.  

 이번에 그가 강의하는 중용은 어떤 모습으로 새롭게 탄생했을지. 역시나 궁금하다.  

 

 

 

  한국에서 민주주의 이후 민주화에 대한 고민이 여전히 뜨거운 시점이다. 어떻게 '진정한 민주주의'에 이룰지 최장집 이후 지속적으로 후마니타스 출판사는 관련 저서를 소개 출간하고 있다.  

 어쩌면 <작은 것들의 정치>도 사회주의가 몰락한 시점에서 우리가무엇을 할 수 있을지. 어떤 정치를 해나가야 세상을 바꿀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