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철학전공자다.
요새 인문학이 붐이라고 한다.
내가 학교 다닐때는 인문학 전공자는 진짜 암울했는데...
나도 졸업후 진로에 대해 너무 막연해 힘들었었다.

당시 경영 경제학이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었고 CEO란 인텔리를 의미하는 듯 했다.
취업을 위해 경영학이나 법학 같은 사회과학분야의 복수전공은 거의 필수였고 나도 정치외교를 복수전공하고 있었다.

내가 다녔던 대학에서의 대우도 인문학은 찬밥이었다.
경영관을 시작으로 사회과학대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법학관도 신축했지만 인문학 건물은 옛건물 그대로였다. 철학과 정교수님도 4분밖에 안계셨다. 유교학교라면서 돈안되는 인문학은 뒷전이라는 아이러니에 개탄스럽기도 했다.

내가 제대했던 2001년에 과내 연중행사로 학술회를 열었는데, 그때 주제가 호서대의 철학과 폐지로 인해 쟁점화된 철학의 위기였던 기억이 난다.

당시 대학에서 인문학도들은 루저의 얼굴들을 하고 있었었다. 더 좋은 과를 가고 싶었지만 학교에 맞추다보니 오게 됐어요 식의 인문학도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며 사실 학부내에서도 철학과의 인기는 바닥이어서 1학년 성적이 좋지 않아도 철학과로 진학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나도 수혜자인듯하다^^;)
강의실에선 진리와 의식에 대해 열띤 토론을 했지만 강의실 밖을 나오면 상아탑 안에서만의 관념놀이인가...하는 괴리감을 엄습했다.

돈안되는 인문학...그거 배워서 뭐하는데?
라는 질문들에 씁쓸한 미소밖에 지을수 없었고 스스로에게도 그 질문에 답할수 없었다.

재학중 나는 과외를 구하기 위해 중개업체에 등록을 해놓은 상태였는데 과외가 너무 안구해져서 다시 문의하러 갔다가 정치외교를 복수전공한다 했더니 그럼 진작 정외과라고 하지 그랬냐는 얘기를 들은 적도 있었다.

누군가 전공이 뭐냐 물으면 대답하기가 싫었다.
십중팔구 철학이 뭐하는거냐? 점보는거냐?
내지는 그냥 침묵...대화단절...의 과정은 많이 겪다보니
대답하고 부연설명하기가 피곤했다.
어쩔때는 길게 얘기하기 싫어 사학과라고 거짓말 한적도 있었다.

인문학 전성기라는 요즘 철학과생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 인문학도로서의 자부심이 있을까?
내가 지금 새내기라면 어떨까? 예전처럼 철학도라는 것에 대한 편견때문에(그때만해도 운동권으로 보는 시각이 있었다) 번민하지는 않겠지만 옛날이랑 별로 다르지 않았을 것 같다.
왜냐면 솔직히 인문학이 각광을 받고 있다지만 아직 나의 사고방식으로는 철학 전공에 부합되는 진로는 교수, 교사, 강사, 작가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머리가 굳어가는 나이라 창의적인게 떠오르지 않는다.

인문학도들이 내가 상상도 못한 분야에서 비상해주길 바란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6-03-28 16: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인데 취업 걱정이 커서 인문학의 위기에 크게 관심이 없을 것 같습니다.

애즈라엘 2016-03-28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만큼 붐은 아닌가봐요?^^;

후애(厚愛) 2016-04-01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즐겁고 행복한 4월 보내세요!!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현실 너머 편 (반양장) -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 편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채사장 지음 / 한빛비즈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얕기는 정말 얕지만
인문학과 물리학, 예술의 문턱에서 망설이는 분들에게
유용한 지도가 될 수 있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여기 깨어있기
법륜 지음 / 정토출판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어려운 일이다.
지금 여기에 깨어있어야 한다.
지금 여기에서 살아있어야 하고, 행복해야 한다고
자주 돌이키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중생인지
아상에 사로잡혀 지금 여기서의 나의 직분을 놓치곤한다.
스마트폰 보느라 버스가 지나가는 줄도 모르듯
우린 항상 한 눈 팔고 사는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수꾼
하퍼 리 지음, 공진호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퍼 리가 파수꾼을 앵무새 죽이기보다 먼저 썼다는데 왜 파수꾼이 출간되지 못하고 금고 속에서 반세기가 넘는 시간동안 금서처럼 숨겨져 있었어야 했는지 조금 알 것 같다. 읽는 동안 나도 주인공 진 루이즈처럼 당황과 실망, 불안등 불편한 마음이 가득해서 작가의 기지 넘치는 문체에도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았으니까.

아마 작가는 예상치 못했던 앵무새 죽이기의 호평과, 의도하지 않았던 애티커스라는 시대의 우상에 흠집내는 것이 두려웠으리라. 앵무새 죽이기에서의 애티커스는 양심의 모범이었다. 나 또한 무고한 자신의 의뢰인을 지키기 위해 목숨이 위협당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땀을 흘리며 법정에서 변호하던 그의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었으니까.

하지만 그는 `백인의` 우상이었을 뿐이다. 덫에 걸린 아둔한 흑인을 구해내려 하는, 우월하기 때문에 관대하고 자애롭고 `그래야만 하는` 백인의 우상. 그는 인간과 인종의 평등함을 위해 싸운것이 아니라 흑인에 대한 우월감을 당위시 할 수 있을 백인들이 세워 놓은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싸운 것이다.

그러나 대중이 보고 싶은 면만 보고 받아 들이고 싶은 대로 받아들인 애티커스를 하퍼 리가 어떻게 파괴할 수 있었겠나.

그것이 자신의 세계가 붕괴하는 성장통이라 해도 고통을 권장하긴 쉽지 않았겠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3-21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수꾼》이 《앵무새 죽이기》의 명성을 배신했다는 평이 있지만, 저는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파수꾼》에서의 애티커스의 생각은 동의할 수 없지만, 그의 허점이 인간적이고 현실적으로 느껴집니다. 지금도 애티커스 같은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애즈라엘 2016-03-21 22:00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읽는 내내 불편하다가 마지막엔 미소를 지으며, 역시 하퍼 리 여사군...하며, 별 다섯개를 줘야지~하며 책장을 덮을 수 있었어요. 전 하퍼 리가 배신했다고도 애티커스를 망쳤다고도 생각하지 않아요. 애티커스도 인간이었던 것이고 진 루이즈가 성장하기 위해 아버지의, 인간인 아버지의 모습은 직시하고 받아들일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해요. 댓글 감사합니당^^
 

재밌는데 영 진도가 안나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