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업계에서 살아남기 - 실무자를 위한 생존 경쟁
알렉스 지음 / 정보문화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IT업계에서 종사한 지 5년 이상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사정상 여러 부서를 이동하며 각자 다른 환경에서 개발 및 운영 업무를 해왔고 담당업무와 사용언어도 바뀌었습니다. 다행히 현재 업무는 큰 이상없이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회사 생활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자신있게 '예'라고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나보다 먼저 이런 경험을 했던 분들은 어떻게 이런 상황을 극복했는지가 궁금했는데 마침 이 책이 눈에 띄었습니다.


다른 업무도 마찬가지지만 IT업무에서도 함께 일하는 사람의 성향이 중요합니다. 저자는 IT업무 성향을 크게 지도자형 IT, 백성형 IT, 노예형 IT로 구분했습니다. '지도자형 IT는 신기술을 좋아하며 남들보다 먼저 습득하고 선도하는 유형, 백성형 IT는 신기술에 관심이 있고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만큼의 역량만을 보유하고 있는 유형, 노예형 IT는 신기술에 관심 없고 오로지 월급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으로 정의했습니다. 주변 사람이 어떤 성향에 속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대응방식도 소개하고 있구요. 


대개 IT업계에 들어오면 상당수는 시스템 엔지니어, 네트워크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등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다 어느 정도 연차와 직급이 올라가게 되면 역할이 모호해지는 직원들이 생깁니다. 프로그래밍을 계속 하기에는 개발역량이 예전만 못하고 그렇기에 실무 엔지니어 업무에서 멀어지면 IT 기획 운영 또는 대외 IT 영업이라는 두가지 영역에서 움직이게 된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IT업무는 장비 및 솔루션이 아닌 이해관계자들을 상대하면서 시작합니다. 하지만 사내 정치에 휘말려 다른 사람의 업무를 부당하게 맡게 될 수도 있고 회사에거 불필요한 희생을 강요받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을 피하고 IT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자신이 맡은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 이해관계자에 대한 대응을 잘해야 합니다. 이해관계자 중 특히 겉과 속이 다른 사람들을 요주의 인물로 분류한 후 그들과 대화를 최소화하고 항상 관찰하라고 말합니다. 


헬스데스크, IT 기획 및 운영업무, 공통 업무 등에 대한 것도 다루고 있지만 현재 시스템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보니 IT프로그래머의 내용을 다룬 3장이 개인적으로 가장 유용했습니다. 프로그래머의 본분은 한마디로 버그 없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개발을 끝내고 프로그램이 작동되니 본인이 할 일을 다했다고 대충 마무리 해서는 안됩니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진지하게 테스트를 진행하며 보완해야 합니다. 만약 혼자서 분석, 설계, 프로그래밍까지 다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차후 문제 상황을 대비에 이메일, 메신저 등의 내용을 잘 수집해두어야 합니다. 


이제까지 엔지니어로서 개발 및 운영업무만 수행해왔기 때문에 IT기획이나 헬프데스크, IT영업 등의 분야에 대해 잘 몰랐습니다. 앞으로 시간이 지나 저도 전환기가 왔을 때 이제까지 해온 업무와 다른 업무를 수행해야 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 때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도 IT업계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이 읽으면 공감되고 유용한 부분이 많은 것 같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