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깨비, 잃어버린 우리의 신 - 전래동화에 갇힌 전래의 신에 대한 17가지 짧은 이야기
김종대 지음 / 인문서원 / 2017년 1월
평점 :
도깨비는 일반적으로 원시인 복장을 하고 머리에는 뿔이 나고 손에는 못이박힌
철퇴를 들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깨비는 일본에서 들어온 오니의 형상을
그대로 본뜬것이다 즉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혹부리영감 이야기가 초등학교 국어독본에
리면서여기의 삽화인 오니가 우리의 도깨비 형상으로 둔갑한 것이다
그런데도 해방 이후 우리 교과서에 오니가 도깨비인 줄 알고
그대로 실렸으며 그것이 마치 도깨비의 본모습인 양 인식되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오니의
형상을 갖게 되면서 1980년대에는 귀면와를 도깨비기와 로 부르는 왜곡까지 생겨났다
이것은 도깨비가 한국인에게 과연 무엇이었는 가를 모호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6-
어릴적 꼬비꼬비 라는 만화 및 전래동화 혹은 전설의 고향이나 최근 방영되고 있는
도깨비라는 드라마를 통해서 나는 도깨비에 대한 이미지를 가지고있었다
그러던중 만난 이책 도깨비 잃어버린 우리의 신은 내가 기존에 알고있던
도깨비에 대한 것이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는 것을 알게 해준책이었다
우선 기존에 알고있던 대표적인 도깨비의 모습이 실은 우리의 도깨비가 아닌 일본의
오니 였다는 것에서 한편으로는 배신감? 이라는 것을 느끼며 책을 시작하였고
그렇기에 우리의 도깨비는 어떤모습일까? 라는 마음으로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한국의 도깨비는 상위의 신이 영락한 하위의 신이다 귀신도 사람도
아닌 존재인 것이다 -33-
고개는 산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
산은 외경스러운 곳이다 맹수들이 사는 곳이기도 하지만 산신 등 신이
살고있는 곳이기도 하다 신성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산꼭대기는 아니지만
도깨비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고개에서 살고있다 왜 산꼭대기에서 살지않는 걸까?
여기서 우리는 도깨비가 상위에 속하는 신이 아니라 영락한 신 즉 하위에 속하는 신으로
여겨졌음을 알수 있다 -60-
흔히 도깨비의 이미지는 어떻게보면 귀신이라기라고 하기도 뭐하고 그렇다고
신의 이미지도 아닌 뭔가 벗어난 이미지 라고 어렴풋이 생각하였는데 이책은
도깨비의 실체를 저자가 한국의 역사속 문헌이나 글에서 연구하여 설명해주고있다
저자가 표현한 상위의 신이 영락한 하위의신 이라는 표현이 도깨비라는 실체에 대해
설명해주는 가장 명확한 표현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하면서 살이다
제주도에서는 도깨비 덕분에 부자가 되었으나 잘 모시지않아
하루아침에 알거지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지만 위의 이야기에서는
도깨비를 이용해서 부자가 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도깨비를 이용해서 부를 얻는
사람의 지혜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반대로 순진한 도깨비를 배신하는 사람의
영악함을 경계하는 교훈도 담겨 있다 -112-
귀신이 사람을 잘 홀린다면 도깨비는 어떤가? 도깨비도 사람을 홀리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도깨비는 사람을 홀리기보다는 사람과 어울린다고 보는 것이 옳다 -121-
도깨비에 대한 글들이 소개대며 이책에서는 도깨비에 대해 여러 이야기들을 하고있고
도깨비의 특성에 대한 글이 참으로 흥미로웠는데 우리가 알고있듯이 금나와라 뚝딱~
은나와라 뚝딱~ 으로 대표되는 재물을 주는 이미지에서 부터 장난끼 가 있으면서
어리숙한 모습의 도깨비 때로는 많은 재주를 가졌지만 오히려 사람에게 골탕을 먹는
도깨비에 대한 모습까지 이책에서는 도깨비에 대한 여러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주고있다
그리고 도깨비의 이야기속에 숨겨있는 이야기까지
우리민족의 도깨비의 진정한 모습은 무엇일까 라는 궁금증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추천해주고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