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탄한 독서력 - 읽고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곽동우 지음 / 카시오페아 / 2016년 8월
평점 :
독서는 두꺼운 책을 누가 많이 먹어 치우는 지를 경쟁하는 것이 아니다 - 머리말 -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책을 더 알차게 읽고 싶을 것이다
머리와 가슴으로 깊이 새길수 있게끔 말이다 독서인들에게는 나도 그렇지만 일종의 그러한 욕심이 있다
하지만 독서를 하면 할수록 어려운게 독서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다읽은책임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흐른뒤에 기억에 많이 남지하거나 할때는 일종의 자괴감도 들고 말이다..
이책은 독서법에 관한것을 이야기 하는 책으로 독서를 더욱 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길을 제시해주는 책이다
시중에 많은 독서법에 관한 책들이 나오는 지금 이책은 그러한 수요속의 책일수도있을 거라는 생각도 있을수있겠지만
이책은 차별성이 있었다 그럼 그 차별성은 무엇일까?
그렇다면 어떻게 자신에게 맞는 독서법을 찾을 수 있을까? 보통 대중성과 인지도를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은데 선택의 기준은 자신의 목적과 수준이 되어야 한다 문제는 이런 목적과 수준이 사람들마다 천자만별이기때문에 쉽게 이야기 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하지만 스스로 자신의 목적과 수준을 찾을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정보가 바로 독서의 원리다 원리란 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로서 모든 기술은
기본원리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독서의 원리를 알면 수많은 기술속에서 흔들리지 않고 필요한 기술을
선택할수 있다 - 책속에서 -
이책이 기존의 독서법에 관한 책과 다른 차별성은 획일화된 독서방법을 제시하지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성공한 위인들의 독서법을 보고 배우려고 따라하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것에 함정을 제시하고있다
그것은 모든사람들에게 성공한 위인들의 독서법에 적용되지않는 다는 것이었다 사람마다 수준이 다르기때문인 것이
그 이유였고 오히려 독서의 원리가 더중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원리에 대한 설명이 이책의 주요 메시지이다
소화하기 어려운 음식을 좋다는 이유만으로 무조건 많이 먹어서는 건강해질 수 없다 - 41 -
독서에는 단짝이 있었다 늘 함께하며 서로의 가치를 높여 주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독서는 자신의
단짝을 잃어버리고 반쪽이 되었다 독서는 혼자가 되었지만 열심히 달렸다 그러나 아무리 달려도 남는 것이 별로 없다는생각을 지울수가 없었다 그렇다면 독서가 잃어버린 단짝은 무엇일까? 바로 사색이다 - 134 -
책속에는 독서에 대한 원리 를 설명하기도 하지만 책을 읽을때의 마음가짐또한 저자는 제시해주고있다
어떻게 보면 재미 를 위해 독서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거부감이 있을수도있겠지만 이책은 책을 통해 지식 과 사고를
함양하고자 하는 목적 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내용들이 많이 담아져있다 나에게 가장 다가왔던
이책속의 독서법 중에는 사색하라라는 저자의 이야기가 가장 깊게 다가왔다 왜냐하면 아주가끔은 글자만 읽는
독서를 하는 경우가 내게 종종있어왔기 때문이다 생각을 하지않는 독서랄까..그런것 말이다
또한 저자는 책을 읽음에 있어 목적의식과 더불어 책의 핵심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을 사고 하고 재구성하고 사색하라
고 독서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절차들을 이야기 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책을 읽는것이 이토록 어려운것인가? 라는 생각
이 들긴하지만 그만큼 책을 통해 변화를 원한다면 많은 기술적인 부분이 필요하지않나 라는 생각과 동시에 공감이 되었다
마치 몸짱이 되기 위해선 단지 운동만 하는 것이 아닌 운동기술을 배워서 효율을 높이거나
비단 운동뿐만이 아닌 모든분야에는 기술이 존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독서에도 기술이 필요하다는것
그리고 더 깊게 읽을수있는 방법들이 많다는 것을 이책을 통해 느끼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