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전 리더수업 - 일류 리더들은 고전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나채훈 지음 / 보아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최근 리더에 관한 책이나 강연등이 주변에 자주보인다 이유는 뭘까
리더의 부재에 따른 갈증의 표현인지 혹은 리더가 되고자하는 열망이 사회적인 관심이
커진것인지 모르겠지만 그것에는 어떠한 이유가 있을것이다
사실 리더학(?)이라는 관심사는 아주 옛날부터 존재했었다 사람들이 사는 세계에서는
리더 라는것이 필연적으로 존재해왔으니 말이다
이책은 과거 고전 에서 나왔던 리더학 을 현대세계로 끌어내어 표현한 책이다
과거 치열했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수많은 왕조가 태어난 것처럼
수많은 사상가들또한 나왔으며 제왕학들이 나왔다 시대는 달라져 그당시에는 제왕학이라고
불렸던 사상들은 현대에서는 리더학으로 불리며 재조명을 받고 있는데 이책은 바로
그러한 책이다
누군가는 고전들의 리더학(?)에 대해 시대에 뒤쳐져있는것이 아닌가 라는 반문을 제기 하기도
한다 시대가 달라졌으니 과거의 사상은 현대에 맞지않는다며 말이다
하지만 나의 생각은 시대는 달라졌지만 과거의 통치술 즉 지금의 시대에서 말하는 리더학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결국은 시대만달라졌을뿐 사람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절대군주제이건 현재의 민주주의 의 세상이건 결국은 리더는 존재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관계만이 달라졌을뿐이지만 말이다..
이책에서는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 한비자 손자 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풍미한
성현들의 리더학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공자 와 맹자 처럼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리더학에 대한 생각에서부터
공자의 덕치 와는 상반되는 노자 한비자의 리더학에 대한 것까지 나와있다
이런점이 이책의 재미중의 하나인데 그것은 각 사람마다 추구하는 리더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공자 와 맹자 처럼 인 과 덕을 위주로 하는 리더를 추구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강력한 규칙을 행하는 순자 와 한비자 같은 리더를 추구하기도 하며
다양한 변칙적인 전략을 구사하라는 손자 처럼 일에대해 능률적인 리더를 따르기도 하기때문이
다 그렇기 때문에 이책을 읽으면서 개인의 리더쉽에 대한 지론을 성현들의 이론과 비교해가며
읽을수도있으며 혹은 자신의 생각과 찬성 혹은
반대되는 생각에는 여러가지 생각을 하는 사색의 시간도 가질수 있다 그것이 이책의
묘미 이자 재미이다
직장인인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한편으로는 내 위에있는 리더를 혹은 누군가의
리더인 나에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