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의 징비 - 치욕의 역사는 여기서 끝내야 한다
박기현 지음 / 시루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징계할 , 삼가할 , 기록할 


시경 에 나오는 말로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라는 뜻에서 서애 류성룡이 지은 징비록이라는 

명저 를 읽게 되었다 


1592년 동아시아 를 흔든 임진왜란 이라는 전쟁속에서 영의정 및 도체찰사 등 여러 관직은 물론

군수물자 보급 및 군량조달 그리고 면천법 실행 및 전쟁 이전에는 이순신 장군 과 권율 장군을 추천하여

전쟁에 대비한 서애 류성룡이 지은 이책은 제목 그대로 임진왜란 때의 교훈을 토대로 반성하고 후환을

경계하자는 뜻에서 지은 책이다


이책은 책을 좋아하는 나에게는 신선하게 다가왔는데 그 이유는 역사속에서 전쟁이후에 전쟁상황에

대해 회고하면서 반성하자는 뜻의 취지로 그 시대를 겪은 사람들이 책을 낸 경우가 거의 없었는데

이러한 점이 징 비 록 을 읽고 접하며 나에게는 여러가지 의미로 다가왔다


어쩌면 임진왜란 이라는 전쟁에서 초반 무기력하게 무너진 조선이라는 나라

그리고 선조의 몽진길에 평소 성리학을 운운하며 기득권을 유지했던 그 세력들의 도주...

그리고 그런 참화를 막지도 철저히 대비하지도 못했던 조정..

그리고 그 속에 있던 류성룡 본인도 책임이 없지는 않았을것이고 지우고 싶은 기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책을 냈다는것은 역시 그는 위인이었다 라고 느꼇었다


서애 류성룡 의 뜻대로 결국은 훗날 징계하고 후환을 경계하지 못해 " 정묘호란 " 과 " 병자호란 " 이라는

참화를 겪게 되는 역사의 슬픈일이 되었지만 말이다....


이 징비록 이라는 책속에는 임란 이전의 상황들 그리고 임란 당시의 상황들 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주로 류성룡 개인의 시각으로 본것이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 징비록 속에 류성룡 본인의 책임회피의 느낌이 있다 " 와 같은 서평을 이책을 접하기 전에 

여러번 접해보았다 하지만 어느책이건 개인의 생각이 들어있는건 당연한것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이책을 순수히 임진왜란을 직접 겪고 느낀 현장당사자이자 당시에 도체찰사로 군사 와 영의정으로

국정운영 그리고 군수물자 및 무역 과같은 경제 분야까지 두루 관여하고 성공적으로 이끈

류성룡이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서 읽었다 


그리고 임진왜란 속 이순신 및 의병들의 활약도 있었지만 조정 에서는 류성룡 과 같은 위인도 

있었다라는 사실도 느낄수있었고 말이다 


당시로써는 파격적인..면천법 즉 노비도 공을 세우면 신분을 벗어나게 해준다는 생각과

그리고 국가가 점유했던 소금전매를 해제한 그의 생각의 전환에 놀랐고 말이다

물론 그런 전시상황에서도 기득권세력들은 그의 이러한 생각에 반대했다는 사실에

또 여러가지의미로 놀랐지만 말이다.....쩝 


개인적으로 임진왜란사를 정말 좋아하고 특히 전쟁사를 좋아했는데 이 징비록이라는 책을 통해서

문신의 시선으로 보는 임진왜란에 대해 느낄수 있었고 교과서에는 간략하게 표현되있어 아쉬운

류성룡이라는 인물에 대해 입체적으로 접근할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좋았다


현시대에 있었으면 하는 관료상을 보는 느낌도 있었고 그리고 과거의 잘못을 징계한다라는

생각을 가진 류성룡과 같은 정치인 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