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이스캠프 - 지식세대를 위한 서재컨설팅
김승.김미란.이정원 지음 / 미디어숲 / 2014년 9월
평점 :
넘치는 정보에 흔들리지 않고 진실된 " 사실 " 만을 찾아내어
그것이 오직 " 사람 " 과 " 세상 " 을 위해 사용될때 그 빛나는 생각과
언어는 지식으로 거듭나고 한사람의 지식으로 또 한사람을 살린다면
그것은 이미 " 지식 " 을 넘어선 지혜이다 - 본문중에서 -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누구나가 자신만의 서재를 가지고 싶어한다
이미 가지고있는 사람들도 있을것이고 혹은 꿈꾸는 사람들도 있을것이구요
자신의 서재는 자신의 영혼을 나타내는 곳이기도 할것입니다
서재에 꽂힌 책들을 보면 그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것에 관심이 있는지
짐작해봤던 경험은 누군가의 책꽂이를 보았던 사람이라면 한번씩 경험해보왔을겁니다.
이책은 서재라는 공간을 베이스캠프라고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재와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고 있습니다
베이스캠프를 왜 서재에 비유했을까요?
베이스캠프라는 단어를 들으면 탐험가들의 전초기지가 생각나는 분들이
많을것입니다 산악인들의 베이스캠프나 탐험가들의 베이스캠프는
그들은 무언가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출발점일것입니다
그래서 이책에서는 서재를 베이스캠프로 비유한것입니다
이책은 p와 미란이라는 교육자들의 문답형식으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교육자인 P는 자신의 베이스캠프 를 설명해주고있으며 지식의 통합 융합 통섭
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교육에 대한 설명 으로 미란 과의 문답형식
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책을 읽으며 넓은 독서 와 깊이독서 높은독서 라는 3단계 독서와
그것들을 통섭하여 자신만의 지식체계에 대한 이야기를 p와 미란은 주고받습니다
그러한 문답으로 이책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엿들으며 배우는 듯한 느낌을 주곤합니다
이책을 읽기전 독서법과 서재에 대한 이야기를 기대했으나
교육 이라는 주제를 가진 지식과 서재에 대한 문답형식이라 다소 쉽게 읽히지않았고
사실 저는 독서 그 자체에 대한 주제를 기대했습니다..그래서 그랬던거같습니다. 그래서
생각했던 주제와 달라서 조금은 혼란스러웠지만
책으로 인한 지식의 연결이라는 방법에 대해 알수있는 부분에서
당혹감 그리고 독서법과 지식의 연결에 대해 새롭게 알수있는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