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아빠의 자격 - 아마추어 아빠에서 프로 아빠가 되는 길잡이
서진석 지음 / 북라이프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좋은 아빠란 무엇일까?


난 아직 결혼을 하지도 않았고 그러므로 아빠는 아니지만.


나중에 결혼을 하게 되어 내 아이를 보게 된다면 좋은아빠가 되고싶다

그리고 꼭 그럴것이고 

하지만 정작 나는 미래에 아빠가 될 내모습을 많이 상상해보진 못했다


그저 아이의 말에 Yes맨 으로 대응하는 아빠의 모습 ?

그런 아련한 모습만 상상하고 있었다

직 결혼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나 생각이 없어서 그럴수도있지만

이책을 만나게 되고 다시 생각해보니 

좋은 아빠의 자격이란 무엇일까 라는 물음표를 내자신에게 던지며

책을 읽기전 한번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그동안 결혼하기전인 상황이라 남녀연예의 방식의 책이나

이 책과는 흡사한 좋은 남자의 자격 같은 류의 책만 본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하긴 좋은 남자가 되야 결혼도 하고 아빠가 될수있지만 말이다

하지만 좋은남자와 좋은아빠는 반드시 평행선이 아닐수도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좋은 아빠란 무엇일까?

내가 이책을 보면서 느낀 좋은 아빠의 자격이라는 것은


아이와 함께 하며 공통분모를 찾는 아빠 인거 같았다


이책에는 저자가 아빠로써 아이와 함께했던 시간들 그리고 그안에서

좋은 아빠가 되기위해 했었던 행동들과 효과 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고있다

읽으면서 참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인즉슨 바쁜 회사일을 끝내고 녹초가 된 몸으로

단 1 시간이라도 아이와 함께 하기 위해 전날 야근을 하고 집에와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질정도로 저자는 아이와 함께 하기 위해 노력을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가끔 주변에서 회사생활이 힘든데 아이와 못노는 것은 시간이 부족해서!


라는 변명아닌 변명을 듣곤 한다 물론 맞는 말일수있다 

하지만 정작 매일 1시간 시간이 없을까?

흡연하는 흡연자들이 하루 담배를 피는 시간을 다합치면 1갑기준 20분이 되고

직장 동료와 술먹는 시간을 대충 어림잡아 계산해보면 1시간 이상은 될것이다


그런데도 과연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이 없을까?

물론 그런 아빠들도 있겠지만 아닌 아빠들이 많을것이고 변명일 경우가 많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리고 육아는 단지 엄마의 몫이라는 사회적 인식또한 한몫하는것 같다.


아이는 엄마 혼자서 낳는게 아니며 

또한 부모는 엄마 혼자가 아니다

아이는 아빠와 엄마의 사랑의 결실이며 함께

올바르게 키우는 것이 부모의 의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 의무를 단지 회사일을 하는 아빠 라는 이유만으로

바쁘다는 핑계로 아이와 함께 하는 시간을 스스로 없애는 것이

아빠의 자격일까? 부모의 도리일까 

라는 생각을 하며 

나도 훗날 아이를 낳으면 같이 부딪히며 놀고

아이와 공통점을 찾을 거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이책을 보며 어릴적 내 생각에는 나와 많은 시간을 함께한

아빠 를 떠올려볼수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