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우주라는 미친 생각은 어떻게 상식이 되었는가 - 패러다임을 뒤흔든 논쟁의 과학사
토비아스 휘르터 외 지음, 김희상 옮김 / 알마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끝없는 우주

그리고 밣혀지지 않은 수많은 은하계와 행성들
그리고 고대에서부터 있어온 천문학 과거에는 다소 철학적으로 해석되어지다가
시대가 변하며 과학으로의 색이 강해진 천문학은 나에게 정말 관심이 있는 분야였다

또한 나의 어릴적 꿈은 천문학도였기때문에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시기에 요즘 대세(?) 가 되고있는 평행우주 에 대하여 관심이 있던 중 이책을 만나게 되었다

천문학에 관심이 없더라고 다중우주라는 이야기의 뜻을 듣게 되면 
누구나 관심을 가질거라고 생각한다 다른우주에 내가 존재한다면 하나가 아닌 여러개의 
나와 각기 다른 삶을 살고있는 내가 또다른 우주에서 살고있다고 생각해본다면?

참 신기하면서도 어떻게 그런일이 일어날수 있겠나? 라는 생각을 할수도있을것이다
다중우주라는 것이 그것이 가능하다는 과학적 이론이다 
우주라는 것이 밣혀지기 힘든 분야이다보니 그것이 진짜다 아니다 가 아직은 밣혀지지않았지만
최근에 크게 각광받고 있는 우주론임에 틀림없고
나또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빅뱅우주론이 각광을 받은이후에 나온 다중우주론..

천문학관련 우주관련책은 대부분 물리공식과 복잡한 과학적 이해가 있어야지 
읽을수있는 분야나 나또한 천문학에 관심이 많아 우주관련 서적을 많이 보아왔지만
일반인의 시선에서 본 책들은 상당히 어려워 내용의 절반을 이해하면 성공이라고 생각해왔다
물론 아닌분들도 있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이책은 과학적 물리적 사고만으로 풀이된 책이 아니다
다중우주론에 대한 설명과 왜 다중우주론이 나왔는지 그 역사의 시작과 지금까지의 흐름
그리고 과학자들의 이론과 논쟁을 소설형식처럼 다루고 있다

그리고 과거의 천동설과 지동설 의 대립 갈릴레오부터 스티븐호킹 등등의 
다양한 과학자들의 이야기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우주에 대해 설명하고
다중우주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그래서 어려운 우주관련책에 진절머리가 나신분들이 계신다면 이책을 권하고 싶다
또한 다중우주에 대해 관심있는 분들에게는 더욱더

관심은 있었으나 접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했던 다중우주론에 대해 배울수 있어서 느낄수있어서
좋았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