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홉킨스 환자 안전 전문가가 알려주는 병원사용설명서 - 나와 가족의 생명을 지켜줄 네 개의 치즈 이야기
정헌재.윤혜연 지음 / 비타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을 읽고나서의 느낌을 서두에 먼저 적어보겠다


정말 깜짝놀랐고 놀라웠다 내가 무심결에 그냥 갔던 병원에 이런 안전장치들이 있었고
이런것을 너무나 무심하게 지나쳤던 내가 너무 부끄러웠던것이다.

이책은 병원의 안전망 이책에서는 안전망을 치즈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즉 의료안전사고에 대비한 방어책이라는 뜻이라는것이다

우리는 살면서 작은병이건 큰병이건 병원에 찾아가곤 한다 당신은 혹시 이런생각을 한적이있는가?

요새는 과학이 발달해서 의사랑 기기들이 알아서 다해줄꺼야~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 환자들이 병원을 찾을때 병원에 의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책을 읽고나서 확실히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서는 병원에 의지하는것도
물론 중요하긴 하지만 환자본인 스스로 안전장치를 갖추고 사전지식을 
갖추고 방문해야 내몸뿐만 아니라 내가 사랑하는 가족들도 지킬수있다는것이었다.

이책의 서두에는 현대과학 그리고 의술이 발전했음을 독자들에게 전해주고 있다
과거보다 다양한 의료분야의 전문가들이 늘어났고 
환자1명에게 들어가는 의사들의 숫자도 늘어났고 과거에는 치유하지 못했던
병들도 이제는 손쉽게 치료한다

그러나 한가지 문제점을 이책에서는 지적하고 있다
그것은 분업화와 복잡성에 따른 틈이라는것이다 과거에는 의원한명이 환자한명을
돌보면서 어쩌면 지금보다 환자의 세세한 면을 볼수있었지만
분업이 철저히 된 지금 이시대의 의료에서는 분업된 의료행위중에 한곳만 
구멍이 생겨서 환자에게는 치명상을 입힐수있다는 것이다

이책은 그러한 틈 과 안전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만약 의사에게 처방전을 받았는데 다른사람 자기랑 이름이 비슷한 사람의 약을 처방받고 먹으면 어떻게 될까?
혹은 자신의 병력을 의사에게 설명하지 못하고 상극의 약을 처방받아 환자본인에게 피해를 받으면 어떻게 될까?

이러하듯이 다양한 의료의 틈에 대해서 이책은 우리가 몰랐던 일부분까지 설명해주고 있다

혹시 병원에서 내이름을 알면서 제차 물어보거나 하는 것을 본사람들이 많을것이다
의료란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학문이기때문에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다 그만큼 중요하고
신중해야 하며 실수가 없어야 한다

이책은 그러한 의료체계에서 환자본인의 망각과 의료시스템에서 일어날수있는 사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병원을 그저 약만 처방받고 주사만 맞는 곳이라는 인식이 있던 나에게는 정말 
감명깊고 다시금 의료에 대해서 되새길수있는 좋은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