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있었다 - 경제학이 외면한 인류 번영의 중대 변수, 페미니즘
빅토리아 베이트먼 지음, 전혜란 옮김 / 선순환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몇년간 페미니즘에 대한 이야기가 각종 미디어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아쉽게도 그것은 건전한 토론과 사회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피가 낭자한 장이 되어버렸지만 말이다. 나 역시 그 전쟁의

시기 과연 무었이 옳을까? 라는 생각을 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었다. 나는 페미니즘의 본질에 대해

몰랐다는 사실이었다. 분명 이러한 것이 생기게 된 원인과

긍정적인 요소들이 있겠지라는 아득한 생각을 가진게

전부였다.

그런 면에 있어 이 책은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와 역사를

알려주는 책으로 손색이 없다. 더군다나 이 책은 나라마다

여성의 억압과 사회적 진출에 대해 폭넓게 기술함으로써

단편적인 면에서 벗어나 다양한 생각을 하게 해주고 있어

마음에 들었다.

아프리카의 여성인권과 북유럽의 여성인권의 차이와

같이 인종과 국가를 넘어 여성의 자유와 권익에 대한

역사와 차이, 그리고 현재를 넘나들며 여성의 위치에

대한 역사를 알려주고 있기에 이 책이 좋았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역사적으로 여성의 핍박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좋았다. 아무래도 남성인 내게 있어

내가 그냥 지나쳤었던 그 흐름을 말이다. 과거의 정략

결혼으로 인해 여성에게는 선택권이 없는 삶을 살았

던 것이나, 피임이라는 것이 현대사회보다 힘들었던

과거의 여성들의 아픔까지 말이다. 더불어 여성인권

이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그 사이클의 역사를 보며

쉽지 않았다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저자는

이러한 역사를 토대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에

설득력이 높았고 말이다.

페미니즘에 대한 정의와 여성의 수난사를 알고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하고픈 책이다. 더불어 남여갈등이

생각보다 심한 우리나라가 서로 다투는 것이 아닌,

사랑을 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가지며 책을 마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