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조선사를 좋아하고 그 중 임진왜란 파트를

제일 좋아하는 입장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일어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은 허망함 그 자체였다. 그래서인지 이 파트를 공부

하다보면 답답하기도 하고, 화가나기도 한다.

저자는 이 책의 서문에서 자신들의 권력에만 안주하면 백성은

어떻게 되는가?로 시작하는데 이는 인조정권을 민낯을 드러내는

적절한 문장이 아닌가 싶었다. 적어도 그 이전의 왕인 선조는

비난의 요소와 잡음이 많지만 인조보다는 나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만큼 이 정권은 혼란의 시대가 아니었나 싶다.

그렇기에 저나는 이러한 인조정권과 병자호란의 전후 사정에

대해 이 책에 자세히 설명하고 싶다. 특히 잘 안알려진 내용을

이 책에 심겠다는 저자의 의도처럼 처음보는 내용들이 많이

보이기도 했다. 디테일이 살아있다는 느낌이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답답했던 점은 정말이지 자신들의 권력

에만 몰두했었고, 지난 임진왜란의 전란으로 부터 교훈과 반성

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지금봐도 이상한 외교정책은 물론

이거니와 반란을 두려워하기에 군비를 확장하지도, 훈련에 대해

서도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던 인조정권은 점입가경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듯 하다. 더불어 새시대를 열수도 있었던 소현

세자의 죽음까지 생각보다 이 시기는 조선사에 있어 매우 중요

한 부분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병자호란에 관한 책들을 많이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읽은 상태에서 이 책의 느낌은 명,청,조 세국가의 이해관계에 대한

디테일과 인조정권의 다방면을 더욱 세밀하게 기술한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많이 들어서 알겠지만 과거를 통해

배우고 개선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은 2023년 세계의 질서가

어지러이 흘러가는 와중에 교훈을 주지 않을까 생각하며 책을 마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