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 세트 (전3권) (반양장) - 전체주의의 기원 + 인간의 조건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 지음, 이진우.박미애.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아렌트의 사상은 읽으면 머리아프겠지만 죽기전에 접해봐야할 필작이라고 한다. 도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여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0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남성작가편에 이어 여성작가편을 펼쳤다. 기존 남성작가편에서는 문학수업 등을 통해 이름을 들어본 작품이라던가, 최소 한 문단만이라도 접해본 경우가 많다면 여성작가편의 경우, 박경리, 박완서, 은희경, 신경숙 등 대표적인 작가들을 제외하고 생소한 이름과 작품들의 이름이 많다.

그 이면에는 기존 문단이 남성작가들에게 많이 열려 있었음을 나타내는 이면일까? 저자 역시 스치듯 말했다. 기존의 문단은 남성작가들에게 우호적이었음을. 그래서인가 남성작가들의 문학사를 살펴보면 사회적 배경을 좀더 글 속에 녹여내고, 그 속에서 살아내는 '주체적'인 캐릭터를 구성했고, 했었어야 했다는 해석이 많이 보인 반면, 여성작가편에서 다루어진 작품들에서는 남녀차별적인 문화 속에서 좌초하는 캐릭터(공지영, 무소의 뿔처럼 가라)라던가 가부장제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는 인물(오정희, 유년의 뜰) 또는 삼각관계를 보여주는 (박완서, 나목) 비교적 규모가 작은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학생들이 외쳤던 '카르페디엠'. 오늘을 살라는 그 한마디가 산업화를 겪은 우리사회에서 당연한 삶의 태도로 받아들여질때 한국문학사는 어디까지 사회상을 담아내고 있었는가. 최근의 문학만 보더라도 강화길, 김초엽, 최은영, 정세랑 등 많은 여성작가들의 글들이 빛을 발하고 있다. 개인적인 의견에서 그들의 글들이 사회편견에 맞닥뜨린 여성 소시민들의 캐릭터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아쉬웠다.

저자 역시, 90년대 이후 성장을 거부하고 오늘을 사는 일상만을 담고 있는 한국문학사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소설을 비롯한 문학은 일시적 소비에 그치는 단발성 컨텐츠가 아니여야한다. 문학수업에서 소설의 정의에 대해 공부할 때를 생각해보자. 소설은 '사회적 경향'을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두 권의 책을 연달아 보며 든 생각은 굳이 이에 대해서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로 구분을 했어야 했나 의문이 든다. 오히려 각 권에서 구분했던 것처럼, 10년단위로 목차를 나누되 그 시기 안에서 활동했던 작가를 같이 나열함으로써 비교분석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다면, 한국 문학사 내부적인 측면과 더불어 대외적인 측면까지 같이 생각을 할 수 있었지 않나 아쉬움이 든다.

하지만 기존 교육과정을 통해 일방적인 문학작품의 해석을 배워온 나로서는 저자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방면으로 문학을 해석할 수 있고,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었다는 데에서 좋은 기회였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 남성작가 편 - 세계문학의 흐름으로 읽는 한국소설 12 로쟈의 한국문학 수업
이현우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학사에 대해 돌아보는 것은 전공자를 제외하고 아마 고3 수험공부, 취업공부일때는 제외하고 많은 사람들이 경험이 전무할 것이다. 우리와 같은 평범한 시민들을 위해, 서평으로 이름난 로쟈 이현우가 한국문학을 되돌아 봤다. 이번 시리즈는 남성작가와 여성작가 2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기존 한국현대문학에 대한 수업 강의록을 좀 더 세분화 하고, 정밀하게 보완하여 펴낸 책이다.

로쟈는 이미 2000년대 초, 인터넷 서평을 통해 유명해진 서평가이다. 러시아 문학에 대해 전공하였으나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필력으로 현재는 관련 강의도 꾸준히 하고 있다. 비전공자가 한국 문학을 다루기에 과연 어떠한 내용이 담길지 궁금하였으나 오히려 우리와 비슷한 눈으로 바라보기에 그의 글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이 작품은 읽어봐야지 표시를 하게 된다.

남성작가편에서는 문학수업때 많이 나왔던 작가와 작품들이 다루어지고 있다. 저자는 1960년대부터 2000년대를 현대문학기라 보고 십년단위로 대표적인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읊고 있다.

남성작가편에서 다루어지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 : 최인훈, 이병주, 김승옥
1970년대 : 황석영, 이청준, 조세희, 이문구
1980년대 : 김원일, 이문열, 이인성
1990년대 : 이승우
2000년대 : 김훈

우리나라의 각 분야의 역사를 살펴보면 일제강점기를 통해 근대화가 되었으며, 산업혁명과 노동혁명등을 통해 시민의식의 근대화 및 권리 회복이 이루어졌다는 맥락은 어디서나 자주 볼 수 있다. 문학사 역시, 일제시대에 다양한 외국어를 배워 문학을 접했던 최인훈의 광장에서 시작하여, 이순신의 개인성을 다시 살펴본 김훈의 칼의 노래까지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발전해온 한국 문학사의 모습을 알 수 있다.

관심있게 읽은 부분은 이름만으로도 오늘날 너무 유명한 황석영과 이문열 그리고 김훈이다. 특히 작년, '철도원삼대'라는 작품을 통해 기존의 강남몽이나 다른 여타의 작품과 달리 시대를 거스르며 노동자의 문제를 읊조린 황석영 작가.

문단에서 존경받는 원로작가 중 한명일 테지만, 좀 더 위대한 작가가 될 수 있었을 텐데라는 저자의 아쉬움이 너무나 전달되었다. 박경리작가의 토지, 조정래 작가의 아리랑, 태백산맥 등 역사를 관통하는 대하소설이 존재하고 그에 버금가는 10년의 연재기간을 거친 장길산. 그 소설을 집필해 낸 작가임에도 장길산은 대중들의 인식에서 인지도가 타작품들에 비해 낮은편이다. 오히려 그 기간동안 황석영 작가가 근대 모더니즘의 소설을 집필함으로써 한국문학사에 한 획을 그었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작가의 아쉬움에 너무 공감이 되어 버렸다.

특히나 우리가 기존에 접했던 문학수업과는 다른 결의 문학수업을 통해 기억 속에 숨겨 왔던 작품들을 다시 한번 만날 수 있는 기회였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그문트 프로이트 - 교묘하게 인간을 지배하는 무의식과 꿈의 세계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캘빈 S. 홀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심리학에선 빠질수 없는 프로이트!! 묻지않아도 기대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 구스타프 융 - 영혼을 파고드는 무의식 세계와 페르소나 탐구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심리학 3대 거장
칼 구스타프 융.캘빈 S. 홀 지음, 이현성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로소나 이론의 창시자 융. BTS 노래로만 접했는데 자세한 내용이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