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필요한 시간 - 다시 시작하려는 이에게, 끝내 내 편이 되어주는 이야기들
정여울 지음, 이승원 사진 / 한겨레출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년의 중등 교육과정에서, 내가 배운 교육과정에서. 문학시간에 언제나 나오는 말이 있다. 수학은 집합부터 시작하는 것처럼. 문학은 '간접체험'을 하는 것이라고. 우리의 시간과 삶의 기회는 한정되어 있기때문에 문학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어렸을땐 그런가보다하며 소설을 읽어서 느끼는 스릴감이 그런걸 말하는걸까 하고 치부했다. 나이가 들수록? 사회에 찌들어서일까 문학을 오히려 멀리하게 되었다. 시나 소설을 읽으면 마치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드는 것처럼.

하지만 힘들어 지니 찾는 것은 철학과 문학이었다. 그 누구도 위로해주지 못했다. 물질도, 가족도 나의 헛헛함을 채우기엔 빈공간이 있었다. 그곳을 채워주는 것이 글이었다. 저자가 인용한 문장이 그래서일까 더 와닿는다.

지금까지 철학자는 세계를 이리저리 해석해 왔을 뿐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다.

p.90

철학이란 단어를 문학이란 단어로 바꿨을때도 의미가 와닿는다는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나는 이제껏 세계를 비춘 문학을 접했을 뿐 변혁하려는 그 힘을 무시해왔는지도 모른다. 변혁이라는 것이 거창한 건 아니라고 본다. 읽는 이의 마음에 잠시나마 햇살을 비춘다면, 독자가 하늘을 바라보고 생각하게 한다면, 그것 역시 작은 변혁이 아닐까.

저자 정여울이 그간 많은 키워드로 팍팍한 사회에 위로를 건냈다면, 이번에 문학을 통한 위로는 그간 나처럼 문학을 택하지 않은 자들도 자신이 글을 통해 얻은 위로를 같이 얻길 바라며 쓴 진심이 느껴졌다. 지금 이 책을 덮고, 소설책을 꺼내고 싶다. 저자가 위로받았다는 호밀밭의 파수꾼이나 가든파티같은 주옥같은 글들을.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일 1클래식 1포옹 - 하루를 껴안는 음악의 힘 1일 1클래식
클레먼시 버턴힐 지음, 이석호 옮김 / 윌북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워드가 ‘포옹‘이라니 얼마나 더 큰 힘을 갖고 있는, 알려지지 않는 음악들을 소개시켜 줄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미디언스 페이지터너스
그레이엄 그린 지음, 이영아 옮김 / 빛소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티란 독재국가에 있는 코미디언들이란 역설적인 조합. 인간의 이면을 그려냈다는 글은 어떨지 궁급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문을 펼쳤을때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다. 세상에는 알고 싶어도 알 수 없고, 찾고 싶어도 찾을 수 없는 일이 많다는 위화의 글. 무슨 의미인가. 강대국들의 대치 속 풍전등화였던 조선의 운명 속에서 원청과 같은 이야기가 있을지 궁금하다는 저자의 글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서문부터 의미심장한 위화의 글은 읽고나니 아 역시, 이래서 위화구나 싶다. 책은 두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있다. 주인공인 린샹푸와 백여집의 젖을 먹여 키웠다는 그의 딸 린바이자가 그들을 떠난 어미,샤오메이를 찾는 이야기와 샤오메이의 숨겨진 뒷 이야기. 그 두 이야기가 합쳐져 잊혀진 도시 '원청'에 살고 있는 한 가족이 된다.


그렇다고 이 이야기가 한 가족의 이야기로 그치지 않는다. 린샹푸와 딸이 어미를 찾아 도착한 곳 시진. 그 시진에서그들은 '백여집'으로 알 수 있는 백여집의 온정을 보았고, 전쟁을 겪으면서 참혹함을 겪었으며, 그럼에도 살아남는 민중들의 힘을 본다. 민초가 왜 민초인가. 풀이기에 짓밟혀도 일어나는 사람들의 모습을 위화의 필력으로 만나니 숨을 참고 집중하게 되었다.


샤오메이가 고향으로 말한 '원청'. 부녀의 여정은 어미를 찾기 위해 원청을 찾으러 떠나지만 원청은 결국 없었고 부녀의 여정은 계속되었다. 그렇다고 이 여정이 마냥 슬프지는 않다. 역사에 휘말린 많은 이들 중 하나였을 그들에게 원청은 오히려 버틸 수 있는 힘이 되었고, 그들의 목표였을까.


이 이야기는 부녀의 여정기고, 분투기고 평범한 사람들의 생존기였다. 저자가 말한, 한국인에게도 있을 '원청'이 궁금하다는 말은. 원청은 살아가게 하는 힘을 말하는 것일까. 위화의 작품이 원청이 처음이라면 그의 작품을 역으로 추적하게 할 것이다. 위화는 위화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터 버핏의 12가지 성공 원칙
피터 버핏 (Peter Buffett) 지음, 진정성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를 이어 전해지는 성공의 법칙과 그 교육법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