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 - 잃어버린 도시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문을 펼쳤을때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었다. 세상에는 알고 싶어도 알 수 없고, 찾고 싶어도 찾을 수 없는 일이 많다는 위화의 글. 무슨 의미인가. 강대국들의 대치 속 풍전등화였던 조선의 운명 속에서 원청과 같은 이야기가 있을지 궁금하다는 저자의 글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서문부터 의미심장한 위화의 글은 읽고나니 아 역시, 이래서 위화구나 싶다. 책은 두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있다. 주인공인 린샹푸와 백여집의 젖을 먹여 키웠다는 그의 딸 린바이자가 그들을 떠난 어미,샤오메이를 찾는 이야기와 샤오메이의 숨겨진 뒷 이야기. 그 두 이야기가 합쳐져 잊혀진 도시 '원청'에 살고 있는 한 가족이 된다.


그렇다고 이 이야기가 한 가족의 이야기로 그치지 않는다. 린샹푸와 딸이 어미를 찾아 도착한 곳 시진. 그 시진에서그들은 '백여집'으로 알 수 있는 백여집의 온정을 보았고, 전쟁을 겪으면서 참혹함을 겪었으며, 그럼에도 살아남는 민중들의 힘을 본다. 민초가 왜 민초인가. 풀이기에 짓밟혀도 일어나는 사람들의 모습을 위화의 필력으로 만나니 숨을 참고 집중하게 되었다.


샤오메이가 고향으로 말한 '원청'. 부녀의 여정은 어미를 찾기 위해 원청을 찾으러 떠나지만 원청은 결국 없었고 부녀의 여정은 계속되었다. 그렇다고 이 여정이 마냥 슬프지는 않다. 역사에 휘말린 많은 이들 중 하나였을 그들에게 원청은 오히려 버틸 수 있는 힘이 되었고, 그들의 목표였을까.


이 이야기는 부녀의 여정기고, 분투기고 평범한 사람들의 생존기였다. 저자가 말한, 한국인에게도 있을 '원청'이 궁금하다는 말은. 원청은 살아가게 하는 힘을 말하는 것일까. 위화의 작품이 원청이 처음이라면 그의 작품을 역으로 추적하게 할 것이다. 위화는 위화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