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
매들린 밀러 지음, 이은선 옮김 / 이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키르케>
너무나도 많이 알려진 [아킬레우스의 노래]는 캐럴린 밀러의 '호빗'이라면 키르케는 [반지의 제왕]이라는 명성과 함께 그리스 신화들 속에서 여성이 주인공이면서 그것도 태양신 헬리오스의 딸로 태어난 하급 신  마녀라는 점이 눈길을 끌며 이 책을 읽게 되었어요

티탄족 태양신 딸로 태어난 그녀 아버지처럼 능력이 출중하지도 못하고 아버지의 모습을 많이 닮지도 않아고 어머니처럼 예쁜 미모도 아니고 잔인한 매력도 없는 그녀가 인간의 세계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서 그 와중에 자신에게도 특별한 능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다른 님프들(스킬라 괴물)로 바꾸어 버리면서 악연과 비극이 시작된다 이 사실은 한 올림푸스의 신 제우스는 그녀를 무인도 (아이아이에)로 추방한다 그녀는 그곳에서 주술을 연마하고 꽃을 가꾸고 야생동물과 살아가는 도중에 그리스 신화 속에 나오는 수많은 신들과 괴물, 유명한 인물들을 (모이라이, 헤르메스, 메데이아, 미노타우로스, 다이달로스,  오디세우스) 등등 맞아뜨리고 자신의 섬으로 찾아온 남성들을 주술로 돼지로 만들어 버린다 아마도 여성의 몸 이므로  자기방어이면서 자신이 익힌 마법을 실험을 할 수 있는 대상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오디세우스와 일 년을 같이 보내면 그의 아들을 순산하고 올림푸스의 신 (아테네 여신) 으로 아들을 지키기 위한   모성애는 눈물겹도록 애처롭다 자식을 이기는 부모는 없다고 했던가!

아버지를 찾아가겠다는 아들의 일념에 자신의 몸을 던져서라도 지키겠다는 신념으로 심연의 제왕 드라곤 꼬리)까지 주며 다녀오라고 하는 장면은 키르케의 눈물겨운 모성애를 느낄 수 있었어요 나 같으면 자식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내놓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가 없었요 그리고 신들의 의해 한 평생을 전쟁과 바다에서 떠돌든 오디세우스를 죽음에 이르게 한 키르케의 아들을 용서한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는 여신들을 피해 자신의 섬 (아이아이에)로 찾아온 것을 보면서 신들의 무서움과 매정함을 느낄 수 있었어요 피는 피를 부르고 용서는 자비를 낳는다 것을ᆢ

키르케, 페넬로페와 텔레마코스 모습에서 볼 수 있었죠 그리고 키르케의 아들  (텔레파고스) 페넬로페와 그의 아들이 새로운 왕국 아이티오피아에서  아들딸을 놓고 평화로운 삶을 살게 될 것이라고  생각 되었답니다 한 하급 여신인 키르케의 인생의 삶 역시 서양과 동양처럼 남성 주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처철하고도 반항아인 키르케를 보며 치를 뜰 뜻몸부림치면서 울부짖었다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신들의 세계에서 아버지에 대한 반항심과 자매들의 소원을 제지하려는 저항과 자식들을 결혼 예물로 생각하여 다른 신들과의 끈끈한 우애를 지키려고 하는 모습들이 우리의 역사 속 왕족들이 그렇게 해온 모습들과 비슷하여 실망을 했어요그래도 신들인데  인간과는 다른 이상의 세계를 꿈꾸고 다른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고대 신들도 별다를 게 없구나 하고 추악한 신들을 모습들을 본 것 같았어요
키르케의 강한 신념과 자식을 사랑하는 모성애 한 여인의 의지를 찬양하게 되었어요 키르케는 마녀가 아니라 한 아이의 어머니라는 것을 그 존재를 아는 순간 많은 것들이 달라졌어요 신들 가족 간의 경쟁심도 왕궁의 음모도, 사랑도  자신의 변화된 모습 앞에서는 강함과 언약함을 보이는 매려 적인 여신으로 재탄생 되었어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이야기하고 신화 속 남성의 세계에서 강하게 살아남아 한 아이의 어머니로 살아가는 자신의 성장 이야기로 탈바꿈 될 것이라고 믿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