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요괴 도감
고성배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동양 요괴 도감》
#고성배 #동양요괴 #동양요괴도감 #비에이블 #쌤앤파커스 #신 #괴물 #정령 #귀물 #요괴
.
.
이 책을 읽으면서 전설의 고향 드라마가 생각이 난다 그리고 라디오를 즐겨듣는 편인데 라디오 에서는 '전설따라 삼천리' 프래그램이 있었다 성우 유기춘씨 구수하면서 특색있는 목소리로 우리 지방의 설화나 민담을 구성지게 소개하는 가 하면 스릴도 있었다
또한 90년대 드라마에서는 여름이면 남량특집으로 '구미호' 같은 드라마를 방영했다 지금도 가끔 유선 채널을 돌리다 보면 전설의 고향을 시청 할 때가 있다 과거에 이민 본 것이지만 그때는 왜 무서워는지 밤에 나가기를 꺼려다 재래식 화장실을 가기도 겁이 많은 나 였다 ㅎㅎㅎ 또한 초등학교 학창 시절에는 선생님이나 친구에게 들은 무서운 이야기 하나가 생각난다 그때는 요즘 같이 수세식 화장실이 아니였기에 냄새도 참 많이 났다 용변을 보려고 앉아 있어면 밑에서 "하얀색 종이 줄까? 빨간색 종이 줄까?" 이 이야기가 생각 떠올라 왜 를 먹기도 한적이 있었어니 지금 생각해봐도 참 순진했던 시절 이었구나 하고 나 혼자서 미소를 머금는다 ㅋㅋ
.
.
동양요괴 특징들이 전승되어 다른 동남아나 중동지역으로 변형 전승된 그 특징들을 정리 구분하는 과정에서 동양요괴들의 비슷한 결을 찾고자 자료를 정리 비교 하면서 《동양 요괴 도감》이라는 책이 탄생했다
.
.
📚책속으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 이란 이라크 등에서 짐승이나 인간을 닮은 것을 넘어 사물과 결합한 요괴들도 많고 책속에서 등장하는 요괴를 보면서 그들의 공통점이나 차별성 특성을 찾는 재미있는 과정을 다루고 있어 인상 깊었다 한국의 요괴들도 찾아보고 가나다라 순으로 배열 했고 비교하는 재미도 슬솔 했다 그림의 상세한 설명과 구전및 문헌 내용 스토리까지 읽을 수 있어 좋았다 더불어 그림의 삽화와 오른쪽에 분류 출몰지역 출몰시기 기록문헌 특징들을 소개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해놓것이 특징 이다
.
.
P21가루타 종류는 신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조류형 신으로 조류의 왕이다 금시조 라고도 불리는데 날개가 금빛을 띠기 때문이다 가루다의 머리 위에는 혹이 있는데 이 안에는 여의주가 들어 있다고 한다 용을 잡아먹으며 뱀의 천적이다
.
.
P61교인
물속에서 생활하고 주로 베짜는 일을 한다 해시(물속에서 열리는 장터)에서 그가 짠 상품은 귀신이나 요괴 나찰 등이 값비싼 값에 팔려나간다고 한다 교인이 눈물을 흘리면 진주로 변하다고 하니 그 눈물로 변한 진주를 모아 진주 목걸이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 요괴를 어떻게 만날지는 엄두도 내지 못하면서 말이다 ㅋㅋ
..
..
P135 레야크 분류는 괴물 이다
레야크는 끔찍한 생김새를 한 탓에 신생아의 피를 빨아먹고 흑마술에 연구할 재료로 얻기 위해서 묘지에 서성 거린다고 한다 묘지에는 시체 뿐 아니라 이상한 식물 기괴한 돌이 많이 때문이다
.
.
P305 척곽 종류는 신 이다
신을 잡아먹는 척곽은
신이 신이 잡아 먹는다니 참 흥미롭다 머리에는 닭을 올려놓고 흰 띠가 둘러진 붉은 옷을 입으며 붉은 뱀은 머리와 꼬리를 문 채로 이마에 둘러져 있다 그는 먹지도 마시지도 않으며 아침에는 신 3천마리 저녁에는 300마리를 먹으며 이슬을 음료 먹는다고 한다
.
.
우리나라 역사에는 왕 왕족들 또는 드라마에서 사인검을 종종 볼 수 있다 귀신이나 악귀를 물리칠때 사인검이 쓰인다 삼인검은 사인검을 만들 때 함께 만들어지며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에 제작된 인검(寅劍) 중에서 인시(寅時)에 만들어진 것을 사인검이라고 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 만들어진 것을 삼인검 이라고 한다 사인검에는 24자의 한자가 전서체로 입사 되어 있다고 한다
四寅 斬邪劍
사인 참사검
"乾降精 坤援靈 日月象 岡澶形 撝雷電
 건음정 곤원영 일월상 강전형 휘뢰전
運玄坐 推山惡 玄斬貞"
 운현좌 추산악 현참정
.
하늘은 정(精)을 내리시고 땅은 영(靈)을 도우시니 해와 달이 모양을 갖추고 산천이 형태 이루며 번개가 몰아치는도다
 .
현좌(玄坐)를 움직여 산천(山川)의 악한 것을 물리치고 현묘(玄妙)한 도리로서 베어 바르게 하라
.
.
과거나 지금이나 귀신들을 좇기위해서 부적이나 팥 소금등을 뿌렸다 부적은 귀신이나 나쁜 운 등을 미리 막기 위해서 팥은 다 알것이다 동짓날 팥죽을 끓여서 대문이나 집안 곳곳에 뿌리면 귀신이 침범하지 못한다고 한다 소금은 상가집 등에 다녀왔을 때 소금을 뿌렸다 우리는 옛부터 할머니에서 어머니에게로 대대로 내려오는 민간신앙 등이 있어 주로 이것을 하나의 풍습 처럼 여기며 삶에 적응 해 오고 있다 이 책에서도 많은 요괴 괴물 귀물 정령 신 등이 나온다 어떤 것은 사람을 해치기도 하고 신비한 힘을 가진 것도 있다 실제로 존재 하느냐 마는냐는 자신에게 달렸다 부디 이 요괴들이 사람들에게 이로운 일만 해주기를 바랄 뿐이다
서평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쌤앤파커스 건강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