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학보다 진로를 먼저 생각하는 10대의 미래지도 - 3년이 아니라 30년을 꿈꾸게 하는 진로 코칭
강보영 지음 / 노란우산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명문대 입학이 제일 중요했던 시절을 지나 요즘 진로지도의 화두는 단연 내가 좋아하고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꿈 찾기일 것이다. 이 책의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진학보다 중요한 것은 진로이다. 돈을 아무리 많이 받고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을 가졌더라도 내가 하는 일에 즐거움이 없고 보람이 없다면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뒤늦게 자신의 선택을 돌이켜 다른 길을 걷고 있는 사람 중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람이 바로 안철수 교수이다.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 개발이 너무 좋아서 남들이 좋다하는 직업을 마다했던 안교수의 용기는 참으로 대단하다. 하지만 이렇게 늦게 후회하고 다시 자기가 원하는 길로 가려면 포기해야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망설이게 되고 결국 행복하지 않지만 자기가 걷던 길을 계속 걷게 된다. 그렇게 되기 전에 10대부터 일찌감치 자신에 대해 알고,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가 어떤 길을 선택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지 미리 고민할 수 있다면 더 낫지 않을까?  

  십대 때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행복할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저자도 끊임없이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고 이에 더해 공감하는 사람이 많이 있다. 나 역시 그렇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생각하면 답답할 따름이다. 최근 들어 발표되는 입시 정책들은 우리아이들을 한 줄 세우기에 집중하고 있는 듯하다. 내가 학생인 시절부터 학생의 특기를 살린 입학 제도에 대한 이야기는 끊임없이 나왔지만 기존의 입시제도와 별 다를 것이 없었다. 지금도... 그러니 대학입시를 준비하면서 나 자신에 대해 돌아보고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흥미를 느끼는지 발견하고 경험할 시간이 있기나 할까? 진로선택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부모님을 둔 자녀나 학교 차원에서 진로지도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지 않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창시절을 공부스트레스 속에 살다가 대학에 가서 또다시 목적없는 취업전쟁에 뛰어들 것이 뻔하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사회적 시스템(우리나라의 경우 입시위주의 교육)이 뒤따르지 않는 경우 이런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로 남기 쉽다.

  책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 하는 부분이 많았는데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커리어 코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각 장마다 소제목이 있는데 그 제목과 특별히 연관되지 않는 내용이 툭툭 나오는 경우도 많았다. 이 책 속에 드러나는 ~해야 한다는 당위적 주장도 진로지도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되겠지만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나에게는 좀 더 실질적인 내용(SWOT분석 방법, 스마트 초이스 의사결정 트리 등에 관한 부분)이 더 나왔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10대중고생 자녀를 둔 학부모에게는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