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엔 할머니 한마리가 산다
송정양 글, 전미화 그림 / 상상의집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엔 할머니 한마리가 산다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송정양은

동국대학교에서 문예창작학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전문사 극작과를 졸업했습니다.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우리 집엔 할머니 한 마리가 산다』가 당선됐습니다. 본명 조현진으로 『고양이네 박물관』, 『고양이네 도서관』 등을 펴냈으며 『우리 집에는 할머니 한 마리가 산다』는 필명 송정양으로 발표하는 첫 작품입니다.


그린이 전미화는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HILLS)에서 그림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쓰고 그린 책으로는 『눈썹 올라간 철이』, 『씩씩해요』가 있고, 그린 책으로는 『책 씻는 날』, 『말썽이 아냐, 호기심 대장이야!』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제목부터 심상치가 않다.

할머니는 나보다 나이가 두 배나 많다.

할머니의 시간은 나보다 일곱 배나 빨리 간다.

할머니는 개다.

그것도 아주 늙은 개다.

- 책 중에서 -

이 책은 이렇게 이야기가 시작된다.

집에 있던 할머니의 존재는 바로 늙은 개 한마리를 말하는 것이었다.

잘 듣지도 못하고 걷지도 못하고

털은 듬성등성하고 검버섯도 핀 늙은 개 한마리..

어린 딸아이의 눈에는 결코 이뻐 보일 수가 없을 수도 있지란 생각이 든다.


규민이에게 히얀 털을 가진 흰둥이를 꼭 받고 싶은 마음이 크기 때문일지도..

처음엔 '이뽀'라는 이름을 가지고 예쁘기만 했던 그 시절이 있었던 할머니..

​그런 할머니의 똥 냄새도 점점 지독해지고

점점 쇠약해져 가는 할머니를 바라보며

엄마, 아빠는 안락사를 놓고 더 자주 다투게 된다.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할머니를 엄마, 아빠는 정성을 다 해 키운다.




 


" 할머니 죽으면 강아지 키워도 돼?"


 딸의 철없는 말에 상처받은 아빠..


그 뒷모습에 느껴지는 그 마음이 마음을 더 아프게 한다.


아슬아슬하게 자동차와 부딪힐뻔 한 순간

할머니는 무섭게 짖어대며 딸아이를 구하게 된다.


얼마나 고마웠을까.. 얼마나 미안했을까..


할머니는 너무 아파서 병원에 갈 수 조차도 없게 된다.


결국 할머니는 눈을 감게 되고..

그런 할머니의 죽음이 남기고 가는 메시지를 떠올려본다.


할머니의 몸은 움직이지 않았지만 아직 따뜻했다.

아주 천천히 할머니의 영혼이 떠나가고 있었다.

다행이다.

할머니는 더 이상 아프지 않다.

하지만 아빠는 아프다.

가늘게 떨리고 있는 아빠의 뒷모습이 마치 어린아이처럼 작아 보였다.

"이뽀야, 이뽀야."


나는 조용히 아빠를 안아 주었다.

"아빠,  울지 마세요. 할머니는 천국에 갔을 거예요."


-  책 중에서 -


이 책을 보면서 딸아이가 마지막에 눈물을 보였다.


우리는 아직 강아지를 키워본 적이 없지만,

그런 애정을 책 속에서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마치 내가 키우던 개가 마지막 숨을 거두는 것처럼

너무 마음이 아프고 가슴이 먹먹했다.


책 속에서 반려견에 대한 안락사에 대해서

잠깐 나와 아이와 함께 이야기 해보기도 했다.


아이 또한 이 문제를 혼란스러워했지만,

무엇이 옳든 그르든 생명은 소중하다는 건 변함없는 답이다.


책을 읽으면서 잠깐 잠깐의 침묵이

책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고스란히 느끼면서 읽고 있다는 것이 아닐까.


아이도 엄마도 재미있기만 한 책인 줄 알고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마지막까지 우린 그렇게 아무말도 못하고 가슴이 아팠다.


아이가 평소에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하는 소망이 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자기보다도 더 빨리 늙는 개를 보면서

죽음을 마주하기엔 아직은 마음이 어린 것 같아 보였다.


엄마도 그건 마찬가지이지만 말이다.


할머니의 죽음이 남기는 커다한 메시지를 마음에 안고

삶의 소중함을 깨닫고 작은 생명도 소중히 여겨야 함을 느낄 수 있어서

이 책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며

더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