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패턴 - 루스 베네딕트 서거 60주년 기념, 새롭게 탄생한 문화인류학의 고전
루스 베네딕트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교양으로 들었던 문화인류학 강의는, 독특하고 다양한 사례 면에서 매우 흥미로웠다. 그 수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던 것이 바로 다양함의 총체성이었는데, 이 책 또한 그러하다. 우리가 어떤 문화를 볼 때, 가장 눈에 띄는 특징으로 그 문화 전체를 일반화하여 생각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가장 주도적인 특성에 의해 무언가를 특징짓는다는 것은 참으로 위험하다. 하지만 이처럼 지극히 일부적인 특성을 차근차근 모아서 보면, 즉 그 문화적 지도에 지명을 하나씩 채울수록, 하나의 문화적 드라이브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리하여 <문화의 패턴>에서는 극단적인 세 부족의 사례를 통해, 그들 문화의 저변을 보여주려고 한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이 책을 통해 그들 문화를 이해하게 되거나, 그러한 시각에 동조하게 된다면, 루스 베네딕트의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주니족, 도부족, 콰키우틀족을 나누는 큰 틀은 먼저 이성과 광기다. 즉 아폴론적 인간과 디오니소스적 인간으로 나뉘는 것이다. 아폴론은 태양의 신으로서 이성, 절제, 질서 등의 이미지로, 디오니소스는 술의 신으로서 광기, 충동, 환상 등의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두 이미지는 니체의 <비극의 탄생>이라는 책에서 나왔는데, 그는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갈등과 결합에 의해 문화가 탄생하며, 이것의 가장 조화로운 결합이 그리스의 비극이라고 하였다. 베네딕트는 이러한 두 이미지를 빌려와서 세 부족을 가늠하며, 문화를 분석하는 잣대로서 활용하고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두 극단적인 양상 중에 어느 것이 자신에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든간에, 그것을 특정 개인이나 사회의 선과 악, 혹은 옳고 그름의 잣대까지 같이 이용해 판별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부족이 어떤 문화를 갖고 있든, 그것은 각 환경에서 주어지는 여러 갈래 중에 일정한 것을 택하여 발전시켜나간 것일 뿐이다. 그들의 선택은 수많은 행동 양상 중에 그들이 적절하다고 느낀 것이며, 이것이 최선인지 최악인지를 판결할 수 있는 인간은 아무도 없는 탓이다. 사람들이 가능한 행동 중에 선택된 것이 비록 전체 세계에서 가장 전형적인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그들이 상이한 문화적 목적과 동기를 갖고 있는 한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가장 전형적이라는 문화조차 인간이 추측하거나 판별할 수 없는 수많은 패턴 중에서 지극히 일부에 불과하므로, 어떤 문화를 인공적인 방법으로 가늠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전적으로 신뢰하기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지구상의 많은 사람들이 모두 같은 가치체계를 가지고 있을 것이란 기대는 금물이다. 베네딕트에 따르면, 그들의 문화적 양상은 어떤 불가해한 요인으로 인해 상이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그들의 사회적 가치나 어떤 행위의 진정한 목적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더불어 또 하나의 주장은 사회와 개인의 상호의존성이다. 어떤 개인도 그들이 구성하고 있는 사회에서 떨어질 수 있는 실체가 아니다. 비록 문화적 패턴이 어떤 개인의 자율성을 억압하거나, 그들에게 위해를 가한다 할지라도 문화는 존재해야 한다. 문화가 빈약하면 개인은 고통을 겪고, 그 반대 또한 마찬가지이다. 개인과 문화의 상호의존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더 발전시킬 때에 우리는 문화의 통합을 달성하고, 그 총체성 가운데 모든 개인이 행복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을 통해, 사회적 약자나 부적응자 또한 그들 유형의 가치를 인정하고 훌륭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지금껏 이러한 상대주의를 통해, 우리는 관용의 정신을 배울 수 있다. 베네딕트가 극단적인 세 부족의 사례를 인용하고, 그들 문명을 임상적으로 묘사하며, 그 사회를 인정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물론 그들 문화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인정되는 모든 행위를 정상적으로 보기 어려울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를테면 살인이나 간통, 전쟁과 같이,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립하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별개로 놓고 생각해 보더라도 그들 문화 유형은 대부분은 인정되어야 하며, 지켜져야 하는 소중한 유산이다.

 

 문화적 혹은 사회적 상대성과 같은 유연함은 필수적인 요소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일부 국가의 힘이 강대하고, 그들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사회에서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베네딕트가 <문화의 패턴>에서 걱정했던 것과 같은 서구 문명의 강대한 힘, 혹은 문명 및 문화의 진화설, 전파설과 같은 이론들을 거부할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는 근본적인 믿음이 될 것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