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중력 증후군 - 제1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윤고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중력 증후군>은 상당히 노골적이고, 직설적이다. 책 속에 담겨 있는 말들은 죄다 비유적이지만, 그 말들이 뜻하는 바는 이리저리 어렵게 되돌아 가는 법이 없다. 오히려 직선적으로 현대인의 일상을 내보이고, 그들이 내뱉고 싶어하는 말들을 우박처럼 쏟아 붓는다. 그 우박은 너무나 따끔해서 피하고 싶지만, 가만히 느끼면 피해서는 안 되는 현실이다. 그래서 불편하다. 권정생은 읽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지는 책이, 바로 좋은 책이라 했다. <무중력 증후군>이 좋은 책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음이 불편한 건 사실이었다. 허나 한편으로는 공상같은 배경이 사실인 양, 푹 빠져들게 만드는 매력도 있었기에, 애매모호한 느낌이 가득하다.
책은 달이 하나 둘 씩 증식하면서 점점 사회가 혼란에 빠지는 양상과 그 혼란에서 빠져 나오는 모습을 말끔하게 그려내고 있다. 혼란에 빠지는 속도도 빨랐지만, 헤매임에서 벗어나는 것은 더 빨랐다. 얼마 전 폐막한 베이징 올림픽의 열기가 후끈 달아 올랐다가, 어느새 그 이야기들이 쏙 들어가 버린 것처럼 쉽게 식는다. 하지만 가슴 속에 무언가 하나쯤은 남기 마련이다. 무중력 증후군의 실험자였던 노시보의 엑스레이 가슴 사진에 동그랗게 남은 흰 달처럼 말이다.
<무중력 증후군> 또한 나에게 작은 상흔을 남겨 주었다. 인터넷 뉴스로 하루를 시작하는 노시보, 가슴 뜨겁게 열망했던 달이 사라져도 여전히 일상을 영위해야 하는 노시보의 어머니, 그런 아내를 하염없이 기다리며 어깨를 움츠리는 노시보의 아버지, 평생 자신의 꿈을 숨기고 살아야 했던 노시보의 형, 소설 소재를 다른 신인 작가가 한 발 앞서 발표한 것을 알게 된 구보. 그들이 일상에서 늘 느끼는 소외와 절망이 여전히 생생하다. 그것은 너무나 재빠르고 경쾌해서, 당시에는 미처 느끼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엉뚱한 사건들과 대담한 전개, 시답잖아 보이는 언어 유희들이 그 상처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우리는 수많은 달이 생기고, 또 몰락하는 과정을 보며 살아가야 한다. 또 어떤 무중력을 느끼게 될지라도, 지구의 연약권을 향해 다이빙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가볍고 또 무거운, 차가우면서도 뜨거운, 그런 심장을 가지고 달을 바라봐야 하는 것이 아닐까. 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