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초 1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역사소설의 묘미는 단순히 옛 기록을 풀어 쓰는 것에 있지 않다. 기록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상상으로 재구성해, 있음직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바로 그 순간에 있다. 그래서 대개 기록이라는 뼈대를 두고, 기록과 기록 사이의 비어 있는 부분들에 살을 붙이는 게 정석이라 할 법하다. 허나 <혜초>는 조금 다르다. <왕오천축국전>에 기록된 그의 노정에서는 아예 찾아볼 수 없는 묘한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꿈이라 할 만한 이야기들로 종종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고, 인물들의 종잡을 수 없는 성격과 행적은 궁금증을 더한다. 특히 인물들의 개성이 참으로 선명하고, 또 매력적이다. 더군다나 그 분명하던 선을 깨트리는 것도  순식간이라 놀랍다.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로 그들을 지켜 본다는 것 또한 흥미를 더한다.

 다만 1권의 후반까지는 차츰 전개되는 이야기를 위한 바탕을 깔기 위해서 준비된, 조각난 여정을 각오해야 한다. 자꾸만 길을 재촉하지 않고, 느긋하게 풍광을 감상하며 즐겨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처럼 자근자근 길을 밟아 나가는 것은 여행에 있어 필요한 덕목이지만, 자칫 지루함을 유발하기 마련이다. 더군다나 김탁환은 그리 친절한 안내인이 아니다. 그저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라는 듯, 혹은 그저 자신의 일기를 적어 나가는 듯 이야기를 읊는다. 좌우를 잘라 내고, 앞뒤만 엮어 나가는 것이다.

 사실 그러한 구성과 서술 양식은 꽤나 매력적이다. 적어도 나는 그런 이야기를 좋아한다. 허나 이번에는 심심한 느낌이 들 정도였다. 물론 1권 후반부터는 점점 박진감을 더해 가고, 앞에서 찬찬히 늘어놓은 조각들을 하나의 천으로 꿰는 것 마냥 오밀조밀하게 진행된다. 덕분에 앞서 진행되던 이야기가 조금 지루하다고 해서 후다닥 넘기며 읽었다면 후회할지도 모른다. 책장을 넘기면 넘길수록, 맞춰야 할 조각들을 흘리고 온 것이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들 터이니 말이다.

 지금까지 접했던 김탁환은 잊고 책장을 펼치는 것이 좋다. 그는 예전보다 더 천천히 숨을 고르고, 더 깊게 들이 마시며, 더 멀리 내다본다. 가쁘게 달리고, 느긋하게 쉰다. 그가 연주하는 박자에 몸을 맡길 수만 있다면, 분명 즐거운 여행이 될 것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