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빅
가네하라 히토미 지음, 양수현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가네하라 히토미, 그와는 두번째 만남이다. 작년 여름이었던가. 굉장히 찌는 듯한 더위에, 여행을 떠나기 바로 몇 시간 전까지 안절부절하며 읽었던 책이 바로 <뱀에게 피어싱>이었고, 그게 그와의 첫 만남이었다. 일본 소설을 그리 즐기지 않던지라 좀처럼 찾아 읽지 않기에, 어떤 경위로 읽게 되었던지는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엄청난 충격에 머릿속이 황폐해진 기분이 들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내용도 비교적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 소설이 엄청나게 싫었던 건 아니지만, 다시 만날 것 같지는 않았다. 그러던 와중에 가네하라 히토미를 다시 접하게 되면서 이상스레 설레는 기분이 들었다. 이미 얕게나마 그를 접했던 전력이 있기에 엄청날 것이라는 건 짐작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묘하게 당기는 마음을 접을 수가 없어 마침내 펼치게 되었던 것이다. 제목에서부터 착착 당기는 느낌이 오지 않는가.

 상당한 망설임 끝에 다시 접했던 그는 <뱀에게 피어싱>에서 풍기던 문체나 분위기가 비슷하면서도 묘하게 달랐다. 그리고 그 다름이 오히려 나에게 더 깊고 은밀하게 채색되었다. 첫작에서 느꼈던 약간의 찝찝함은 가시고, 오히려 야릇한 성숙함이 더 짙어진 것이다. 무엇보다 약간의 역겨움도 느껴졌던 첫작과 다른, 뇌를 관통하는 듯한 찌릿함이 물씬 다가온다. 덕분에 책을 읽고 난 뒤로 한동안 넉다운 된 상태였던지라, 서평을 쓰려고 마음 먹게 된 기간도 평소보다 길어졌다. 

 나름의 찬사를 늘어 놓긴 했지만, 일단 <아미빅>은 첫작에 비해 이해가 어려운 소설이다. 이전에 비해 서사적 측면을 쳐내고 심리적인 측면을 섬세하게 표현했고, 서사적으로는 순차적이지만 의식의 흐름에 기대어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화자가 정신착란을 겪고 있기에 독자가 동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더불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 오오'하는 식의 문학적인 표현보다 현실적이면서도 독특한, 혹은 난해한 묘사를 통해 내면 심리를 표출하고 있다. 하지만 한 번 동화되기 시작하면 그의 우울마저 전염되어 오는 중독성은 실로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다.

 앞서도 말했듯 화자는 정신착란을 겪고 있는데, 나의 짧은 지식을 통해 좀더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그는 섬망을 겪고 있다. 착란 당시의 상황을 기억하지 못 하는 점이나 알코올 중독을 겪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는 아주 심한 정신병을 앓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착란은 정신병에서도 꽤 중증의 상태이며, 그 중에서도 섬망은 정신착란에서 가장 중증의 단계이다. 이처럼 심한 정신병을 앓고 있지만, 그는 이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하려 한다. 이런 상태에서 겪는 자기혐오는 이루 말할 수 없이 그를 괴롭힌다. 자신은 물론이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까지 혐오한다. 착란 상태에서 컴퓨터에 남겨 놓은 착문은 그 도를 더욱 심하게 만들어 몰아 세운다. 

 그의 행동이나 소설 속의 문장을 온전히 이해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이다. 더군다나 가네하라 히토미 본인도 인터뷰를 통해 이 소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고백한 바 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소설에서 쓰여지고 보여지는 것들은 이를테면 누구나 한 번쯤은 겪었을 법한 괴로움과 우울을 표현한다. 다만 깊이가 빈도가 남다를 뿐이다. 가네하라 히토미는 그 본능적이고 근원적인 고독을 너무나 잘 표현해 냈다. 때로는 엽기적이고, 또 비현실적인 문체나 상황을 통해, 정제하지 않고 거친 내면을 그대로 보여 준다. 덕분에 그를 다시 보게 되었다. 더, 알고 싶어졌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