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국 1 - 안드로메다 하이츠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다 읽고 나자 몸이 나른해졌다. 굉장히 몽환적이고, 따뜻하며, 평온한 느낌이다. 시즈쿠이시처럼 자연에, 산에 기대어 살고 싶다는 마음이 들 정도로 온화한 기운이 글에서 뿜어져 나오는 탓이다. 그런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설정이나 장면들이 종종 있지만, 전체적으로 매우 깨끗한 느낌이다. 아직 한 발자국도 찍혀 있지 않은 설원을 뒹구는 느낌 말이다.

 시즈쿠이시와 할머니는 산에 살면서 약초차를 만들어 파는데, 그것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이 낫게 도와주는 힘이 있다. 시즈쿠이시는 할머니를 돕고, 또 배우며 오손도손 살고 있었지만, 산기슭에서부터 공사가 시작되며 생태계가 일그러지자 결국 산을 떠나기로 한다. 게다가 할머니는 따로 살자고 말한다. 메일을 주고 받던 남자와 함께 살기로 했다는 것이다. 사실 이 부분에서 똑 부러지게 보이던 할머니의 내면이 의심스러웠으나, 조금이나마 상대방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힘을 가졌다는 설정을 통해 무마해 버린다. 이메일이라도 상대방의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에, 그 기운을 느끼면 상대방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책 속에는 점쟁이가 등장하는 등 기이한 현상을 종종 연출한다. 더군다나 시즈쿠이시 또한 미약하나마 자연과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하니, 딱히 어색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산에서 나와 도시에 살게 된 시즈쿠이시는 할머니가 그리울 뿐더러 산과 떨어져 생활한 탓에 몸과 마음이 많이 지쳐 버린다. 허나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특히 가에데의 어시스턴트로 일하게 되면서 온화했던 삶을 되찾는다. 마치 할머니를 도왔던 것처럼 가에데를 도우며 안정을 찾아가는 것이다. 물론 그가 도시에서 적응하기까지 여러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결국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의 만남으로 인해 숨통을 튼다.

 바나나는 시즈쿠이시가 그토록 사랑하는 할머니처럼, 자연뿐 아니라 사람들이 있기에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은 듯 하다.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 수 있을 때에 진정 아름다운 세상일 것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른다. 물론 사람들이 자연을 파괴하고 희생을 강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 아름다운 사람들이 있기에 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것이라고 말이다.

 시즈쿠이시는 스스로가 이미 '동화보다 유치하고, 우화라 하기에는 교훈이 없(14쪽)'는 이야기이며, '어리석은 인간의 삶과 약간 묘한 각도에서 바라본 이 세계(14쪽)'에 대한 사소한 추억이라고 단정하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허나 내일은 아침 햇살 속에서 따뜻한 새 하루가 시작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잠드는 시즈쿠이시의 모습을 보는 독자는 그렇게 생각치 않을 것이다. 오롯이 혼자서 살 수 없는 사람으로 태어났기에 힘든 일도 많지만, 그만큼 또 행복한 일도 많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은 게 아닐까.
 


덧)  책은 안드로메다 하이츠(Andromeda Heights)라는 곡의 가사를 빌어 시작하는데, 패디 매캘룬(Paddy Mcaloon)은 7-80년대의 영국 팝밴드 프리팹 스프라우트(Prefab Sprout)의 멤버이다. 패디 매캘룬으로 검색해서는 결코 프리팹의 노래를 들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