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텐베르크의 조선 1 - 금속활자의 길
오세영 지음 / 예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오세영은 "금속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은 교황 사절단이 조선을 방문하여 얻어간 기술"이라는 앨 고어의 발언을 통해 이 소설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가 발명품이 아닌 조선에서 배운 것이라는 전 미국 부통령의 말이 확증된 것은 아니지만, '만약 그렇다면?'이라는 가정을 기반으로 역사를 파헤쳐 보지만 역시나 알 수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결국 이 역사적 미싱링크를 채울 수 있는 것은 상상력이다. 오세영은 그 고리를 조선 주자소의 야장, 석주원이라는 인물을 통해 재생한다.

 소설은 줄곧 빠른 템포를 유지하며 긴장감과 재미를 놓치지 않고 있다. 탄탄한 줄거리와 사건의 연속, 수많은 인물들을 통해 독자는 정신차릴 틈도 없이 이야기 속으로 빠져 든다. 대개의 사건 또한 필연적인 구조를 갖고 진행되지만, 아쉽게도 그 사건의 실마리는 너무나 우연적이었다. 사건을 해결할 주요한 열쇠가 뻔하고 우연적으로 보인다면, 플롯 자체가 기우뚱하게 된다. 이는 복선이 부재함으로써 일어나는 문제로 보인다. 어쩌면 이야기의 속도가 빨라, 전개 도중에 홀연히 나타난 열쇠가 기억 속에서 사라지기도 전에 나타나는 탓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이러한 문제는 이 소설의 치명적인 약점으로 잡을 수 있다.


 또한 그의 전작에서 보였던 부족점도 눈에 띈다. 정이 가지 않는 인물들이 바로 그것이다. 오세영은 그가 창조한 대개의 인물들에게 애정을 갖고 있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미처 풀어 놓지 못한 이야기 보따리를 황급히 헤치느라 그럴 틈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소설 속의 석주원은 심성이 너그러워 모든 인물들에게 호의를 갖고 대하지만, 작가인 오세영은 그럴 틈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의 손끝에서 묻어 나는 석주원의 배려심은 오히려 성급해 보일 지경이다. 도대체 그가 왜 그런 끝도 없는 선심을 가질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오세영은 그에 대한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석주원 뿐 아니라 대부분의 인물들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분명 그의 이야기는 풍덩 빠질 수 밖에 없는 재미가 있다. 너울쳐 흘러가는 이야기들을 쉼없이 주워 담느라 정신없이 헤엄치려면 풍덩 빠져야 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르네상스를 이끈 금속활자가 조선의 아들 석주원의 손끝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니, 이 얼마나 매력적인 소재인가. 더불어 잃어버린 우리의 자존심, 금속활자를 되찾으려는 그의 노력은 또 얼마나 가상한가. 이러한 이야기를 창조한 오세영의 상상력과 역사의식에 갈채를 보내야 한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