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명화
사토 아키코 지음, 박시진 옮김 / 삼양미디어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그림을 감상하는 것은 즐겁다. 단지 아름답다는 이유로 매혹되는 것도 좋고, 뚫어지게 쳐다 보다 그 그림의 세계에 빠져들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도 좋다. 때로는 색감 자체에 빠질 때도 있고, 또 때로는 선에, 혹은 표정이나 인상에 빠질 때도 있다. 물론 그렇게 그림 자체만 보는 것도 좋다. 하지만 가끔은 무언가 모자랄 때가 있다. 몇 번을 보아도 이해하기 어려운 그림, 혹은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 왜 그린 것인지 애매모호한 그림, 이면에 숨은 이야기가 있을 것만 같은 그림들을 보면, 감상과 상상력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종종 읽어 왔던 미술 서적들은 그동안 많은 양식이 되어 주었다. 이 책, <세계의 명화>도 그 중 한 권이 되었다.
 

 저자 사토 아키코는 일본인이기에, 일본인다운 시각에서 또 다르게 볼 수 있다는 점이 새롭다. 또 학창 시절에 학교보다 미술관에서 보낸 시간이 더 많았다고 할 정도로 오래고 깊은 심미안도 엿볼 수 있어 좋다. 다만 지나치게 일본인스러운 문구들을 발견할 때, 조금씩 거슬리는 점은 어쩔 수 없다. 간혹 어떤 미술전에 꼭 가보라는 추천의 말이 적혀 있어도 쉽게 갈 수 없고, 닛신 컵누들이나 사자에상을 예로 들어 설명해도 쉬이 동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역자를 통해 보완되어도 좋을 것 같은데, 있는 그대로 보는 것도 나름의 재미가 있을 수 있겠다. 단점이자 장점이랄까.

 

 한편 다른 교양용 미술 서적들에 비해 많은 화가들을 소개하고 있다는 것이 마음에 든다. 특히 잘 모르고 있었던 현대 화가 몇몇을 알게 되어 좋지만, 좋아하던 몇몇 화가들이 빠지기도 해서 아쉽기도 하다. 어쨌든 부제처럼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명화들을 중심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 작가의 생애, 에피소드 등을 엮어서 잘 해설해 주어 완성도는 높은 편인 듯하다. 물론 다른 책이나 매체를 통해 이미 알고 있던 내용들도 많았지만, 같아 보이는 그 내용들을 이전과 다른 저자에게서 또 다르게 각색되어 보게 된 것도 좋은 경험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만큼 많은 화가와 그림을 다루고 있기에 깊이 있게 볼 수는 없다는 점은 아쉽다. 물론 이보다 더 깊은 이해를 원한다면, 화가 개개인을 다룬 책이나 화집 등을 보아야 할 터이다.

 

 어쨌든 나로서는 이 책을 통해 큰 수확이 있었기에, 만족스럽지 않을 수 없다. 평소 좋아하지 않던 화가와 그의 그림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프리다 칼로의 경우, 그의 그림이 내 마음이 불안하고 불편하게 만들곤 했기에 좋아하지 않았다. 무언가 아픈 언저리를 찌르는 구석이 있었는데, 그게 영 마뜩찮았던 모양이다. 그런데 책에서 <부서진 척추>라는 작품을 물끄러미 쳐다 보다가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흐를 정도의 전율이 느껴졌다. 한참을 쳐다 보다, 그에 따른 해설을 보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기도 한다. 또 한 명의 좋은 화가, 좋은 그림을 만나게 된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그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도 좋지만, 숨은 이야기나 시대 상황을 통해 해석하는 것도 색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토막토막 알았던 그림들을 새로운 마음과 눈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 한 번쯤은 잡아 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터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